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d라이브러리
"
난치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19번 염색체 비밀 한국 과학자가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알츠하이머병 등 인간의
난치
병 관련 유전자가 밀집돼 있는 19번 염색체의 해독에 한국인 과학자가 개발한 실험방법이 크게 기여했다.부산 동아대는 최근 이 대학 자연대 생명과학부 임선희 교수 연구팀이 ‘네이처’ 4월 1일자에 게재된 ‘인간의 19번 염색체 염기서열 규명’이란 논문에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경악케 했다.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프랑스의 르몽드지는 “세포 주입을 통해
난치
병 치료 기술을 여는 새로운 진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언론의 보도에는 과장이 섞여있다고 말한다. 치료용 줄기세포 연구에 있어 배아 복제기술이 꼭 선행돼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현재 ... ...
패혈증 치료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50%에 이르는
난치
병인 패혈증의 치료 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한림대 의대 천연의학연구소 송동근, 허성오 교수는 1월 12일 “패혈증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물질을 찾아내고 그 작용 메커니즘을 알아냈다”고 밝혔다.패혈증은 세균이 피에 들어가 번식함으로써 발병된다. 여름철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기원 물질일 것이라는 이론도 강력히 제시되고 있다. 더 나아가 RNA는 암과 에이즈 등의
난치
병 치료제와 진단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생명공학 산업의 도구로서 급부상하고 있다.DNA와 단백질 잇는 가교 그 이상DNA 구조가 밝혀진 직후 과학자들에게 RNA는 단지 DNA가 갖고 있는 유전정보로부터 실제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꾸준하게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수년 안에 돼지 장기를
난치
병 환자에 이식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복제 연구의 틈새 시장으로 애완동물과 멸정 위기에 놓인 동물을 복제하는 연구도 있다.최근 동물 복제 연구는 여러 분야 생명과학자들의 공동 ... ...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아니라, 동물 실험을 거쳐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순서”라고 주장한다. 당장
난치
병 극복이 눈앞에 다가온 것처럼 떠들썩 하지만 기초 연구가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아직도 예측하기 어려운 위험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돌리의‘부고’는 우리에게 탄생 때 못지 않은 충격과 파장을 ... ...
미 FDA 유전자치료 전면 중단 선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선천성 면역결핍증과 암, 관절염, 순환기질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등 인류의
난치
병들을 치료할 미래 의학기술로 주목받게 됐다. 이런 상황에서 1997년 9월 미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유전자치료를 받던 제시 젤싱어라는 17살 소년이 호흡곤란으로 사망했다. 벡터로 사용된 아데노바이러스가 심각한 ... ...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있다.유엔에서 독일과 보조를 같이한 프랑스도 인간복제금지안을 통과시키는 한편,
난치
병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를 얻는 배아복제를 허용하는 수정법안도 심의했다. 현재 배아복제에 대한 법안은 표결에 부쳐지지는 않고 있다. 최근 내한한 필립 쿠릴스키 파스퇴르 연구소장은 “프랑스는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없어 개체가 되지 못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박 소장은 불임에는 적용할 수 없지만,
난치
병에 유용한 줄기세포를 얻는 방법이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 모습(네트워크)을 발견해 뇌의 신비와 암, 당뇨와 같은
난치
성 질병들의 원인을 알아내고자 하는 매우 도전적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프로테오믹스는 이런 새로운 시대에 생명과학을 이끌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