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d라이브러리
"
난치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아복제 연구 시작해도 되나?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난자의 종류가 제한적이어서 연구가 쉽지 않다’는 의견은 8%에 불과했다.한편 ‘
난치
병을 치료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는 편이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16%로 다소 높게 나왔다. 이에 대해 강릉대 생물학과 전방욱 교수는 “체세포 복제배아는 정상적인 줄기세포로 분화할 성공률이 높지 않아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무질서로 가득한 미궁을 조금씩 더듬어가고 있다. 생명의 본질을 이해해가는 과정에서
난치
병 치료나 생명 연장의 꿈도 이룰 수 있을 거라 믿었다. 처음에는 모든 것을 만들고 조절하고 통제하는, 말 그대로 마스터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이 있을 거라 생각했다.하지만 생명현상은 그렇게 단순하지 ... ...
파킨슨도 깜짝 놀랄 초파리 연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세기의 복서 무하마드 알리. 현역 시절 현란한 풋워크와 날쌘 잽은 그의 전매특허였다. 그러나 1984년부터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그의 몸은 지금 화석 같이 굳었다. ... 꿀 냄새 같다”는 정 교수. 오늘도 연구원들과 함께 초파리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며
난치
병 치료의 희망을 찾고 있다 ... ...
군대는 아무나 가나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신장 145cm 이하는 제2국민역, 140cm이하는 병역 면제를 판정받도록 병역법이 변경됐다.희귀
난치
성 질환으로 척추뼈 마디와 인대가 굳어지는 강직성 척추염과 사지가 붓고 근육이 마비되는 반사성 교감성 이영양증 등은 4급에서 5급으로 낮춰 판정받는다. 또 정맥이 동맥에 눌려 통증을 일으키는 ... ...
생명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추적 대상은 단백질합성효소 중 하나인 KRS. 암과 같은
난치
병의 발생과 관련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연구했다. 결국 KRS가 유방암, 전립선암 등의 세포에서 분비돼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고 강력한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을 유도한다는 것이다.KRS는 유방암 등의 세포에서 ... ...
다시 꾸는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명의
난치
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줄기세포는 이리도 아파했나 보다.한 명의 소중한 생명을 살리기 위해 줄기세포는 또 이처럼 괴로워했나 보다.거짓과 욕심의 아귀다툼 속에서 이제는 돌아와 다시 실험실에 선 내 누이같이 생긴 줄기세포여.언젠가 삶의 희망을 잃어버린 이들을 일으켜 세우려고 ... ...
1. 줄기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일은 별로 없으며 상황을 더 나빠지지 않도록 할 뿐”이라며 “줄기세포 치료는 그런
난치
병에 대한 유일한 대안”이라고 말했다. 김동욱 교수도 “80년대에 유전공학, 90년대에 유전자치료가 각광을 받았다면 2000년대는 세포 치료의 시대”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한국에는 줄기세포 연구팀이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만들어진 것이라면 묘하게도 이 역시 ‘세계 최초’가 된다.처녀생식 줄기세포는
난치
병 치료에 쓰일 수 있다. 단 환자가 여성이어야 한다. 환자에서 난자를 채취해 처녀생식으로 수정란을 만든 다음 줄기세포를 얻으면 이 환자에게 이식할 때 면역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 결국 ‘여성용’ ... ...
잃어버린 줄기세포의 희망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논문은 결국 ‘조작’이었다. 황 교수팀에게 ‘줄기세포 원천기술’이 남아있더라도
난치
병 환자들이 의지했던 희망은 이미 아련해졌다. 거짓은 결국 과학에 대한 신뢰를 갉아먹게 될 것이다.서울대는 12월 15일 조사위원회(위원장 정명희 교수)를 꾸려 지난해 11월 본격 제기된 윤리문제부터 최근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실려 있다. 결국 4번 사진은 2, 3번 사진으로 만들어낸 것이다.2005년 논문 줄기세포는
난치
병 환자 체세포로 만든 ‘환자 맞춤형’. 이는 환자 체세포와 DNA지문이 같아 환자에게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없다. 논문에도 같다고 쓰여 있다. 그러나 조사위 확인 결과 2, 3번 줄기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