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nasa
d라이브러리
"
미항공우주국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이 태양계를 삼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대한 새로운 모습을 밝혀낸 연구결과가 잇따라 발표돼 화제가 됐다. 18일에는
미항공우주국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이 우리은하의 평면을 통과해 빠르게 질주하는 최초의 블랙홀에 대한 증거를 발견한 결과가, 19일에는 NASA의 찬드라 X선망원경이 외부은하 중심에서 충돌하는 한쌍의 거대블랙홀에 ... ...
살아 꿈틀거리는 우주의 집게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게성운’이 숨어있다. 게성운은 황소의 남쪽 뿔 근처에 위치한다.지난 9월 19일
미항공우주국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망원경이 함께 관측한 게성운의 모습이 공개됐다. 게성운은 잘 보면 게의 집게발처럼 생겼다. 그래서 1844년 영국의 로스 경이 붙였듯이 이름도 게성운이다. 그런데 왜 ... ...
재앙과 자원의 태양계 야누스 소행성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댁틸은 아이다로부터 1백km 거리에서 24시간마다 한번씩 돌고 있었다.소행성 탐사는 1996년
미항공우주국
(NASA)에서 소행성 전문탐사선인 니어(NEAR)를 발사함으로써 본격화됐다.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에서 최초의 탐사선이자 가장 성공적으로 ... ...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Bugbear’(버그베어)라는 신종 e메일 바이러스가 빠르게 번지고 있다. PC가 이 e메일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해커들이 원격으로 각종 암호나 신용카드와 같은 중요 정보를 빼낼 수 있어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 과학진흥을 위해 많은 연구소를 관리·경영하는 독일의 법인기관 정식 명칭은 막스 ... ...
NASA 혜성탐사선 폭발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8월 26일
미항공우주국
(NASA)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NASA의 혜성탐사선 콘투어가 거의 실패한 것으로 판명난 가운데, 2006년 초반 콘투어를 대체할 새 탐사선의 발사 계획이 제안됐다.1억5천9백만달러가 들어간 탐사선 콘투어는 7월 3일 힘차게 지구궤도로 발사됐다. 하지만 콘투어는 태양 둘레를 선회하는 ... ...
태양계 탄생 비밀 간직한 화석 혜성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최근
미항공우주국
(NASA)의 혜성 탐사선 콘투어가 지구탈출과정에서 몇 조각으로 부서졌다. 콘투어의 목표는 혜성의 핵이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태양계의 화석천체 혜성을 탐사하는데 성공한 선배 탐사선들의 활약상을 좇아가보자.바빌론시대부터 관측돼온 혜성은 처음엔 구름의 일종으로 ... ...
천상으로 뻗은 고속도로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않아 엘리베이터를 타고 우주여행을 할 수 있을지 모른다. 최근 미국의 한 기업이
미항공우주국
의 지원을 받아 우주엘리베이터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개발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우주엘리베이터를 타고 우주정거장은 물론 달이나 화성까지도 갈 수 있다는데….“신사숙녀 여러분, ... ...
태양계 최대 강풍 부는 극한지대 해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과학자도 있었다. 따라서 보이저 2호의 해왕성 탐사 중 하이라이트는 트리톤에 맞춰졌다.
미항공우주국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연구자들은 보이저 2호가 특이한 궤도를 가진 트리톤에 가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궤도를 계산하기 시작했다. 도착 예정시간에 해왕성의 남반구 아래에 위치할 ... ...
화성 탐사 최전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사이에 발표된 탐사 결과는 화성 생명체를 꿈꾸는 우리를 흥분시키기에 충분하다. 특히
미항공우주국
(NASA)의 탐사선‘오디세이’가 표면 아래에서 대량의 얼음을 발견했다는 사실이 화제를 모았다.그렇다면 미래에는 더욱 세밀한 탐사가 요구된다. 아직까지 NASA에는 사람을 화성에 보내려는 ... ...
2. 불로장생 꿈꾸는 첨단 생약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노화 지연하는 약물 개발 가능미국 국립암연구소를 비롯한 여러 연구소들은 마치
미항공우주국
(NASA)에서 우주계획을 추진하듯이 항암제와 에이즈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 대규모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 국력이 투입된 국가적 사업에서 여러 과학자들이 노력한 결과 수많은 학술적 성과가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