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nasa
d라이브러리
"
미항공우주국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잊혀진 컬럼비아호의 희생자 거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주어졌다. 훈련을 통해 4마리의 원숭이와 2마리의 침팬지가 우주비행사로 최종 선발됐다.
미항공우주국
(NASA)은 최초의 유인우주선 머큐리 발사에 앞서 우주비행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1961년 1월 4살짜리 침팬지 햄을 우주로 발사했다. 지구로 무사 귀환한 햄의 건강을 진단한 다음 NASA는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세계에서 가장 큰 과학실험장비인 거대강입자충돌기(LHC)는 모든 물질에 질량을 제공한다고 믿는 아원자입자인 힉스 보존을 검출할 계획이다. LHC는 기존 우주를 창조했던 빅뱅 폭발 후 10억분의 1초도 안되는 동안 존재했던 상태를 재현할 것이다. LHC는 2007년 가동 예정이다. 과학진흥을 위해 많은 ... ...
최초로 소행성 샘플 가져올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뮤제스-C는 소행성 샘플을 지구로 가져오는 최초의 탐사선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는
미항공우주국
(NASA)의 소행성 탐사선 니어가 2001년 소행성 에로스에 착륙해 2주 동안 자료를 보낸 것이 전부였다 ... ...
목성 위성의 얼음 두께는 25km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공학적인 기초기술을 개발중이다.한편 과학자들의 소원이던 유로파 탐사계획은2003년
미항공우주국
(NASA)의 예산에서 제외된 상태다. 대신 유로파를 비롯해 목성의 다른 위성인 가니메데와 칼리스토를 함께 탐사하는 새로운 계획이검토되고 있다 ... ...
미항공우주국
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역사적인 사건이 벌어졌다. 우리나라 최초로
미항공우주국
(NASA)과 함께 참여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GALEX)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던 것이다. 지난 6년 동안 연세대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이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프랑스의 ... ...
우주에 거대한 바다 넘실대는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우주에서도 바다를 만날 수 있을까.지난 4월 24일 허블우주망원경의 발사 13주년을 기념해
미항공우주국
(NASA)이 일반에 공개한 사진을 보자. 격노하는 바다를 연상시킨다. 마치 검붉은 파도가 흩어지며 생겨나기라도 한 것처럼 물거품을 닮은 모양이 여기저기 나타나 있다. 사진에 보이는 지역은 ... ...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 등장 40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물, 음식의 소비량이 적은 여성은 우주로 보내기에 매우 적합한 ‘화물’이었다.그런데
미항공우주국
(NASA)이 선발기준에 ‘테스터 파일럿’(처음 개발된 항공기를 시험하기 위해 각종 극한 조건으로 비행하는 숙련조종사) 경력을 추가하면서 이들의 운명이 꼬이기 시작했다. 당시엔 여성 테스터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지상에 보내면 무한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그의 생각은 1979년
미항공우주국
(NASA)과 에너지부가 공식적으로 채택했다. 이때 제안된 ‘우주태양광발전소’(Solar Power Satellite)는 무게 약 5만t, 넓이 105km2의 태양전지 패널로 전기를 생산하고, 지름 약 1km의 송전 안테나로부터 2.45GHz의 ... ...
1 온난화 탈출할 비상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논쟁이 가열되기 시작했다. 1988년 지구온난화에 관한 미국 상원 공청회에서
미항공우주국
(NASA)의 한센 박사는 20세기 지구온난화는 인간의 활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증가가 확실한 원인임을 밝혔다.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은 1988년 UN총회의 결의에 따라 세계기상기구(WMO ... ...
유니콘처럼 신비스런 빛 메아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초라하지만, 옛사람들이 유니콘을 떠올렸을 정도로 신비스런 별자리다. 지난 3월말
미항공우주국
(NASA)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외뿔소자리의 별 하나에서 퍼져 나오는 ‘빛 메아리’를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영국 과학전문지 ‘네이처’의 3월 27일자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