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nasa
d라이브러리
"
미항공우주국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머리카락 속의 검은 눈 'M64'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보면 누군가 하늘에서 쳐다보는 것은 아닌지 하는 느낌이 들 때가 있다. 지난 2월 5일
미항공우주국
(NASA)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이런 느낌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은 아닌 듯 싶다. 사진의 주인공은 누군가를 응시하는 거대한 눈처럼 보인다. 별명도 ‘검은 눈’ 또는 ‘악마의 눈’ 이다. 섬뜩함이 ... ...
각국의 최초 우주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남기기도 했다. 가가린은 1968년 소련의 최신 제트 전투기 시험비행 도중 추락, 사망했다.
미항공우주국
(NASA)은 1959년 7인의 우주인 후보를 선정했다. 이들 중 미국 최초의 우주인은 알란 쉐퍼드 해군 소령. 그는 1961년 5월 지구를 반바퀴쯤 도는 15분 간의 탄도비행에 성공했다. 이어 1962년 2월 존 글렌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생겨나고 있다.이런 의혹은 지난해 3월 미화학회 정기모임에서 더욱 증폭됐다. 당시
미항공우주국
(NASA) 존슨우주센터의 연구팀이 꿈의 신소재라고 불리는 나노입자인 탄소나노튜브가 동물에 대해 독성을 보였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던 것.연구팀은 쥐의 폐에 나노입자를 주입시켰다. 그러자 ... ...
별을 뜯어먹는 블랙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1억배나 무거운 블랙홀이 부근을 지나가던 별의 일부분을 포획하는 모습을 그린 상상도.
미항공우주국
(NASA)의 찬드라 X선 망원경은 이때 발생하는 강력한 X선을 포착하는데 성공했다. 이 발견은 블랙홀의 성장과 주위 별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정보다.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 ... ...
우주탐사선 혜성 물질 낚아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벽두에 역사상 최초로 혜성 물질을 채집해 지구로 가져오는 우주탐사가 시작됐다.
미항공우주국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는 “NASA의 탐사선 ‘스타더스트’가 1월 3일 오전 4시 44분(한국시간)에 ‘빌트2’ 혜성에 2백30km의 거리까지 접근해 혜성에서 흘러나오는 물질을 채취하는 데 성공했다”고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전혀 새로운 천문 현상이 발견됐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1991년
미항공우주국
(NASA)은 감마선폭발 현상을 규명하는 임무를 부여받은 컴프턴(Compton) 감마선 우주망원경을 우주로 보냄으로써 감마선폭발 연구에 본격 돌입했다. 2000년 수명을 마칠 때까지 컴프턴 감마선 우주망원경은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압력이 작도록 한다. 이 점을 활용하면 일정한 고도에서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다. 최근
미항공우주국
(NASA)에서는 1백일까지 활동할 수 있는 새로운 슈퍼압력 기구를 개발하기도 했다.NASA는 성층권과 같은 높은 고도에서 장기간 활동하는 기구를 화성 탐사에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기구는 ... ...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많이 오지 않아 이런 광경을 보기 힘든게 아쉽다.그래서일까. 새해 벽두인 지난 1월 6일
미항공우주국
(NASA)은 넉가래로 눈을 밀면서 치우는 것 같은 우주의 모습을 공개했다. 이 모습은 아돌프 솰러라는 예술가가 허블우주망원경을 비롯한 다양한 망원경이 관측한 사진을 바탕으로 그린 그림이다. 3 ... ...
화성이 눈앞에 펼쳐지는 www.nasa.gov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스피릿이 선명한 화성표면사진과 화성정보를 보내옴에 따라 화성탐사선을 보낸
미항공우주국
(NASA)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NASA 홈페이지 인트로화면 아래에서 ‘화성 프로그램 사이트’를 클릭하면 스피릿이 보내오는 화성탐사 정보와 사진, 3D 입체사진, 탐사동영상 등을 만날 수 있다.NASA는 ... ...
망원경에 잡힌 별의 산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있는 별들이다. 가시광선으로는 볼 수 없는 별들도 적외선에서는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미항공우주국
(NASA)은 천문학자 라이먼 스피처를 기려 지난해 8월 발사한 망원경을‘스피처’로 정식 명명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