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nasa
d라이브러리
"
미항공우주국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일부 연구소와 대학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미국 내 2개 대학과
미항공우주국
고다드 우주비행센터를 중심으로 수퍼컴퓨터들을 동원한 우주배경복사의 분석 작업이 시작됐다. 아울러 유럽우주기구도 오는 2007년 플랭크 탐사선을 쏘아 올려 심층 탐사 활동을 벌인다는 야심찬 ... ...
하늘처녀 옆에 떨어진 밀짚모자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쫓기 위해 씌운 밀짚모자도 마찬가지다.이런 아쉬움을 달래주려는지 지난 10월 2일
미항공우주국
(NASA)은 밀짚모자를 닮은 천체 사진을 공개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이 은하에는 ‘솜브레로’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다. 솜브레로는 멕시코, 페루 등지에서 남녀가 함께 쓰는 뾰족한 모자로 챙이 ... ...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저가의 발사비용을 실현할 H-2A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분산된 우주기구를
미항공우주국
(NASA)처럼 통합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아시아에서 스페이스 클럽에 두번째로 입성한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은 우주개발용이 아닌 원폭운반용으로 로켓개발을 시작했고, 액체연료로켓만을 집중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7억km가 넘게 떨어진 우주공간에서는 조용하지만 장엄한 발걸음이 시작되고 있었다.
미항공우주국
(NASA)의 무인탐사선 갈릴레오가 초속 50km로 목성의 대기권에 몸을 던지며 14년의 생애를 극적으로 마감했다. 갈릴레오는 46분 후 지구에 마지막 신호를 보낸 후 목성의 품에서 불꽃처럼 사라졌다.17세기 ... ...
조용한 초음속 비행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해군의 F-5E기는 마하 1.36에서도 소닉붐을 발생시키지 않았던 것이다. 이날 비행을 준비한
미항공우주국
(NASA)과 노드롭 그루먼사의 관계자들은 “처음으로 소닉붐을 잠재울 수 있는 길을 열었다”며 환호성을 질렀다.56년 만에 초음속 비행의 상징이자 에어쇼의 묘기에서 기필코 없애야 하는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못해 익사한다.곤충에 대한 카페인의 신경독성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예로는 지난 1995년
미항공우주국
(NASA)의 과학자들이 행한 거미실험이 있다. 연구자들은 거미를 카페인 등 향정신성 약물에 노출시킨 뒤 어떻게 거미집을 짓는지 관찰했다. 약물의 독성이 강할수록 거미집의 형태가 정상에서 ... ...
화성이 핏빛으로 물든 사연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살았던 시기 이후 가장 가까이 다가왔던 화성을 제대로 보지 못했을 것이다.
미항공우주국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커다란 화성 사진을 살펴보며 그 아쉬움을 달래보자. 이 사진은 화성이 대접근 시점에서 수분 이내일 때 찍은 것이다. 이때 화성은 지구에 5천5백75만7천9백30km까지 접근했다 ... ...
우주로켓의 선조 V-2 부활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이 제안은 한가한 공상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V-2를 이용한 유인 우주비행은 1961년
미항공우주국
(NASA)에 의해 이뤄졌다. 비록 V-2 자체는 아니었지만 설계자인 폰 브라운이 미국으로 망명한 후 만든 것으로 V-2와 별반 다른 점이 없었다. 이 유인 비행은 2회만 실시됐다.개발된 지 환갑이 지난 V-2의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우주 탐사라는 장정의 첫발을 내딛는 순간이었다.대우주망원경 프로젝트의 완결판SIRTF는
미항공우주국
(NASA)이 그동안 야심적으로 추진해 왔던 대우주망원경 프로젝트(Great Observatories)의 마지막 작품이다. 우주 망원경의 필요성은 오래 전부터 있었다. 지상에서 보는 별빛은 지구 대기층을 통과해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9월 21일
미항공우주국
(NASA)은 유로파와 충돌가능성이 있는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를 추락시켰다. 탐사선에 있을지 모르는 지구의 박테리아에 의해 유로파가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유로파는 목성의 위성으로 이 외에 이오, 가니메데, 칼리스토 등이 있다. 목성의 대기로 추락할 때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