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포"(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분포하는데 해당 영역에서 오로라가 발생했다. 이는 극지역에 주로 열린 자기력선이 분포하는 지구와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지구는 열린 자기력선 때문에 극지방이 아닌 지구자기위도 70° 내외의 고위도 지역에서만 오로라가 발생한다.피터 델라메레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 지구물리학연구소 ...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유리알락하늘소는 1.7~3.9cm 크기의 곤충이다. 국내에서는 강원도, 경기도, 경상북도에 분포하며 6월부터 8월까지 버드나무나 단풍나무에서 볼 수 있다. 미국에서는 1996년 뉴욕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등 유럽에도 퍼졌다. 외국으로 건너간 유리알락하늘소는 ...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고인류학자들이 알고 있던 것보다 호미닌 간의 교류가 활발했고, 이들이 더 넓은 지역에 분포했을 것이라는 증거다. 2019년 머레이 콕스 뉴질랜드 매시대 기초과학부 교수팀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과 파푸아뉴기니에 사는 현생인류 유전체에서 데니소바인과 여러 차례 DNA를 교류한 흔적을 ...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연구사는 “명태의 경우 서식지의 남방 한계선이 한반도에 걸쳐있기 때문에 개체군의 분포 위치에 따라 어획량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며 “남획 등 다양한 요인이 어획량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다. 윤 연구사는 “아열대성 어류들이 최근 한반도 해역에서 발견되는 사례 역시 ...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그런 후 개미굴과 먹이 사이에 장애물을 두고 개미의 경로를 기록한 뒤, 각 경로의 분포와 밀집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볼록렌즈 모양의 장애물이 있을 때 개미는 속도가 느려지는 벨크로를 덜 지나가기 위해 벨크로가 얇은 가장자리 지역으로 많이 이동했고, 오목렌즈 모양의 장애물이 주어진 ...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연구사는 “명태의 경우 서식지의 남방 한계선이 한반도에 걸쳐있기 때문에 개체군의 분포 위치에 따라 어획량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며 “남획 등 다양한 요인이 어획량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다. 윤 연구사는 “아열대성 어류들이 최근 한반도 해역에서 발견되는 사례 역시 ... ...
- [과학동화] 동화 나라 인기템 ‘무지갯빛 유리구두’ 신데렐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어떤 파장을 흡수하고 방출하느냐에 따라 유리의 색이 결정됩니다. 유전체층 속 공간의 분포를 바꾸면 무늬를 새기고 유리 양면의 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야누스 유리의 원리인 ‘광학 야누스 효과’는 용어가 처음 생겨난 지 5년도 안 된 ‘신상’입니다. 연구팀은 현재 광학 야누스 효과를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존경하는 과학자이기도 하죠. 저는 천문학과 물리학을 좋아하고 수학 분야에서는 소수의 분포에 관심이 많습니다. Q 어떻게 폴리매스에 관심을 가지게 됐나요?수학동아에서 폴리매스 소개를 보고 작년부터 활동했습니다. 사실 수학이나 과학에 관심 있는 친구들을 학교에서는 찾기 어려운데 ... ...
- [기획] “간단한 수학만으로도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개미들의 이동 경로와 렌즈 모양 장애물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최지범 연구원을 만나봤어! 최 연구원은 어떻게 우리의 행동을 설명하는 수학적인 원리를 밝힌 걸까? _ INTERVIEW Q 이번 연구는 어떻게 하게 됐나요?함께 연구했던 박사님이 마침 개미 전문가라 평소에도 개미에 관련된 재미있는 이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특징을 갖죠. 이 함수에 앞서 구한 가중치 함수 H(x)=wx+b를 합성하면 함숫값 y의 분포가 0부터 1 사이의 연속한 S자형 곡선 모양의 그래프가 나옵니다. AI는 합성함수의 계산 결과를 토대로 y의 값이 클수록 에프매스가 행사에 갈 확률이 크고, 작을수록 행사에 갈 확률이 작다고 예측합니다. 처음에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