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포"(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망막 신경절 세포’의 성장 원추가 목적지인 ‘시개(optic tectum)’까지 이어진 길에 분포한 안내 신호 변화를 감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마치 길에 위치한 표지판을 보고 길을 찾듯, 신경세포도 신호의 도움을 받아 경로를 결정한다는 뜻입니다. 세포막 카펫으로 신경세포 발생의 비밀 ... ...
- [매스크래프트] #13. 보신각 종을 꼭 닮은 통계학의 핵인싸 정규분포!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등급은 시험을 본 학생들의 원래 점수로 이뤄진 분포를 표준화해 정규분포로 만든 뒤 매긴 거랍니다. 1년 추가 연재 기념! 이번에 참여해주시는 분께는 퓨처킴이 준비한 선물을 드립니다. 새해와 관련된 작품을 만들어 보내주세요 ...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해결하고자 광자력계 그물(네트워크)을 제안했습니다. 암흑물질이 우리은하에 넓게 분포해 중력을 행사하고 있다면, 그 암흑물질은 단순한 도시 규모가 아니라 더 큰 규모로 존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암흑물질이 지구에 있는 원자들의 스핀에 주는 영향은 동시다발적으로 비슷하게 ... ...
- [과학뉴스] 화성에 물이 흐를 수 있었던 비결은 지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탑재된 감마선분광계(GRS) 데이터를 분석했다. GRS가 측정한 열을 방출하는 화학 원소들의 분포를 토대로, 과거에 이 화학 원소들이 방출했을 열 에너지양을 계산했다. 여기에 화성 내부 맨틀에서 방출된 지열을 계산해 더한 결과, 40억 년 전 화성의 지표면은 지역에 따라 가로 세로 1m의 땅에서 60mW ...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하셨습니다. 서 교수님은 ‘정수 집합에서 자연수를 뽑을 확률’의 경우 “어떤 확률분포가 주어져 있는지 먼저 생각해보라”고 설명했습니다. 오 교수님은 증명 ①과 ②의 차이를 묻는 질문에 “‘구간 [0, 1]에서 구간[0, 2]로 가는 일대일대응 함수 a→2a가 있으므로 길이 1과 2가 같은 것인가?’라는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에 찾아온 손님들, 붉은여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 우리나라의 여우 복원여우는 원래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분포하였습니다. 그러나 모피를 위한 무분별한 남획과 불법 밀렵, 산림 개발에 따른 서식지 감소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최근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허블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자료로 암흑물질도 찾고 있다. 암흑물질은 우주 전역에 분포하지만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지 않아 관측이 어렵다. 그래서 직접 관측하는 대신 암흑물질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포착한다. 암흑물질의 중력은 주변 공간을 왜곡시키고, 이 때문에 근처를 통과하는 빛이 ...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나노자동차를 만들었다. doi: 10.1021/acs.joc.0c01811쌍극자는 분자 안에 양전하와 음전하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아 분자가 부분적으로 양전하와 음전하를 모두 갖는 상태다. 쌍극자 모멘트는 쌍극자의 크기를 나타낸다. 쌍극자 모멘트가 큰 분자들은 분자 전체를 두고 봤을 때는 전기적으로 중성이지만, ... ...
- [통합교과맵] 어둠 속에서 박에 연결된 폭탄을 제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각막을 거쳐 볼록렌즈 모양의 수정체를 통과하면서 굴절돼 한 데 모여요. 이후, 시세포가 분포해 있는 망막에 닿으며 상을 맺지요.망막에는 빛의 색과 밝기를 파악하는 두 종류의 광수용체 세포가 있어요. 색깔을 인지하는 ‘원추세포’와 색의 밝기를 파악하는 ‘간상세포’지요. 원추세포에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미술 속 과학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고르게 분포해 전하를 띠지 않아요. 반면, 극성 물질은 분자 내 전자와 양성자의 분포가 고르지 않아 전자가 많은 곳은 음전하를, 전자가 적은 곳은 양전하를 띠지요. 이렇게 다른 성질 탓에 무극성물질은 무극성물질에, 극성물질은 극성물질에만 녹아요. 그래서 기름이 물에 녹지 않고 층을 이루는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