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작
기원
처음
최초
개시
근원
효시
d라이브러리
"
시초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공백'이라고 불린다. 소행성들은 이러한 공백 등에 따라 집단으로 분류된다. 태양계의
시초
에 이 소행성들은 충돌에 의해 생겨났고 각 집단은 보다 큰 소행성들로부터 깨져나온 것일 가능성이 있다. 물론 확실히는 모르는 일이다.소행성들은 또한 측정가능한 적외선을 반사시킨다. 이로부터 우리는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바로 이 잠수함에 탑재됐던 원자로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압경수로(PWR)의
시초
다.이로부터 40여년이 지난 지금, 각국이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는 인류를 25번 이상 멸망시킬 수 있을 만큼 증가했다. 그와 더불어 원자력발전소는 세계적으로 4백25기가 운전 중이거나 건설 중에 있는데, 이는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효시는 에덴동산에서 금단의 선악과를 삼킨 후 버려진 배설물이지만, 우주 쓰레기의
시초
는 84㎏의 스푸트니크 위성이 저궤도를 96분 주기로 선회하다가 지구인력으로 대기권에 돌입하면서 타버린 잔해다. 지상의 쓰레기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처리하기가 용이하지만 우주쓰레기는 '살아 움직이는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매체는 천공카드였다. 천공카드는 일찍이 영국의 수학자인 베비지에 의해 도입됐지만 그
시초
는 프랑스의 직조공인 자카르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된다. 천공카드는 이후 홀러리스의 응용으로 인해 성공적인 매체로 자리를 잡게 된다.그보다 앞서 1939년 2차대전중 독일의 기술자인 콘라드 추제는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렇지만 이에 불안을 느낀 많은 나라들이 일본의 이러한 계획을 계기로 공동연대하는
시초
가 되었다. 즉 도쿄선언은 컴퓨터개발경쟁을 회사차원에서 국가차원으로, 더 나아가 국가블럭간의 경쟁으로 확산시켰다. 일본인들은 그들 특유의 사무라이정신을 들먹이며 야심만만하게 일을 진척시켜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05모델이 크레이를 공략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멀리 태평양 건너에서도 거대한 움직임의
시초
가 보이기 시작했다. 일본의 3대 컴퓨터 제조회사인 후지쓰 히타치 NEC가 연합하여(게다가 정부의 막대한 자금지원까지 얻어가면서) 슈퍼컴퓨터 시장에 뛰어 들었다. 바야흐로 '슈퍼컴 전쟁'이 시작됐다 ... ...
가장 깊은 호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한다. 그러나 또 한편 바이칼 호수는 점점 넓어지고 있으며 언젠가 등장할 새로운 바다의
시초
인지도 모를 일이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를 일이다.그런데 정확히 호수밑 어디에 핫 스풋들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선 약간의 의문이 있다. 바다에선 바다면적이 넓어지고 용암이 솟구치는 곳에 핫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개발에는 어떤 역사적 배경이 있었는지 살펴보자.스페리랜드, 상처뿐인 영광역시
시초
는 제2차세계대전부터 시작한다. 2차대전중 디지털컴퓨터는 암호해독과 무기개발에 응용되었다. 특히 2차대전이 끝날 무렵부터 핵무기에 대한 각 나라의 열띤 경쟁이 시작되면서 보다 빠른 컴퓨터의 개발에 대한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1784년 와트(1736~1819)가 증기기관의 회전속도를 자동제어하는 장치를 개발한 것이
시초
라 할 수 있다. 기계동작의 자동제어, 자동화를 연구하는 제어공학은 전자공학이 발전한 2차대전 이후 급격하게 발달한다.자본주의 체제가 확립되면서 생산성 향상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돼 부흥한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시간이 흐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우리가 아직 생존할 수 있는 것은 우리가 아직도 우주의
시초
에 살고 있는 까닭이다.그러나 이것이 미래를 향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시간이 흐르면서 우주는 점차 빛으로 기득 찰 것이며 어쩌면 지금으로부터 수조년 후엔 우주의 어느 곳에도 생명이 불가능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