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작
기원
처음
최초
개시
근원
효시
d라이브러리
"
시초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결주의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응용 워크숍'이 열려 학계와 산업계의 큰 관심을 반영했다.뉴로컴퓨터 개념의
시초
가 되는 뉴론(신경세포)에 관한 연구는 1940년대에 시작됐다. 이 때는 인간의 두뇌에 관한 연구가 컴퓨터(인공지능과 동일시)를 만드려는 노력과 일치됐다. 그러나 그 후 컴퓨터는 폰노이만식 컴퓨터로 상용화돼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밑을 지날 수 있다고 해서 과하마라고 작명되었다. 아무튼 이 말을 한국 재래말의
시초
로 보는 이도 있다.이빨을 드러내면…사람들은 대개 제주도의 조랑말을 우리나라 재래종 말로 알고 있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조랑말이 제주도에 뿌리를 내린 것은 7백15년 전인 고려 충렬왕 원년(1275년)이었다 ... ...
인공지능연구 상당한 진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라 하겠다.조건부추론에서 전문가시스템으로인공지능연구의
시초
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진공관과 2차대전 전쟁잉여물자로 지능형 컴퓨터를 처음 제작했는데 실험실에서 미로를 찾는 연구부터 시작됐다. 40여개의 전자회로를 거미줄처럼 엮어 만든 조잡한 ... ...
입자물리학과 우주의 이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실험으로 뒷받침된 진리를 찾아내는 일은 가속기 없이는 불가능하다.우주 탄생의
시초
에 현재까지 존재가 확인된 입자는 모두 질양이 없었고 약력과 전 자기력 사이의 균형은 완전했다. 현재의 차갑고 무질서한 우주와는 딴판이었다. 균형이 흐트러지면서 여러가지의 쿼크와 랩톤, 보손은 제나름의 ... ...
PART2. 의료에서 정보처리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조명산업이다. 조명관계는 뒤에서 별도로 다루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빛산업의
시초
는 거울평면경은 아마도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광학기기 중의 하나일 것이다. 처음에는 잔잔한 수면에 비친 영상을 보았을 것이고 다음에는 매끈하게 연마된 금속면을 거울로 사용하였을 것이다. ... ...
공룡의 죽음-열쇠가 되는 아미노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전의 시점을 가르키는 침전물의 열(列)에서만 발견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아마
시초
에는 제자리에 있었지만 수백만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바위의 위 아래로 표류했을지도 모른다. 이런 얘기는 그다지 설득력은 없다. 그러나 '베이다'씨는 다른 지역의 바위도 조사하고 있으며 혹시 추가된 ... ...
3천미터 심해탐사선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수 있는 나라는 미국 프랑스 소련 일본 등이다. 미국은 이미 1958년에 현재 원격조종선의
시초
라고 볼 수 있는 2천미터급 무인잠수정 CURV호를 개발한 바 있으며, 1984년도에는 6천96미터급 씨클리프(SEACLIFF)호를 개발했다. 이 씨클리프호는 심해저 열수광상(熱水鑛床)을 탐사했으며, 보물선이라 알려진 ... ...
전자와 양전자 충돌결과에 비상한 관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입자의 정체를 아는 일이다.이 입자는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주탄생의
시초
, 이른바 '빅뱅'직후에는 존재했을 것으로 믿어지고 있는 것이다. 초기의 우주가 점차 냉각되면서 이 입자들은 해체되어 여러가지 물질형태로 변해버렸다는 것이다.물리학자들은 입자가속기를 천문학자의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좋은 기능과 물성을 갖는 재료 개발에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금니(Gold Tooth)가
시초
금속은 수술기구나 정형외과용 뼈접합재(bore plate, 부러진 뼈를 지지하여 접합시키는 판)로 옛날부터 사용되어 왔다. 특히 금 은 백금 등 귀금속은 부식되지 않고 생체적합성이 좋으므로 체내 전극이나 ... ...
20세기 최대의 과학계획 초전도 거대가속기는 왜 필요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쪼개진 입자들을 기록함으로써 물리학자들은 어떻게 힘들이 통일되는지, 우주의
시초
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해 단서를 얻기를 바라는 것이다.'레온 레더만'박사는 "이 거대가속기는 현대 물리학이 가야할 논리적인 다음 단계이며 우리가 공간과 시간의 개념을 테스트하는 가장 치밀한 도구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