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으)로 총 1,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오브 북스’에도 오랫동안 우주와 물리에 관한 글을 기고했다.이 책은 근래 뉴욕 리뷰 오브 북스에 와인버그가 기고한 글을 묶은 것이다. 책 제목이 ‘제3의 생각’인 이유는 그의 세 번째 에세이라서다. 그는 책을 통해 우주와 물리, 그리고 과학계에 대한 생각을 풀어냈다.와인버그는 이번 책이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전문연구요원 시험을 준비 중인 강찬신 씨는 “군대에 다녀오면 최소 1년 반의 공백이 생긴다”며 “단순한 시간의 문제가 아니라 그동안 공부하던 것들을 멈춰야 한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현재 국방부는 2022년부터 전문연구요원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겠다는 ... ...
- [잡터뷰] 공대 연구실에 웬 아티스트? 로봇디자이너 송정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닮은 레고 로봇을 설계하자고 제안했답니다. Q 다양한 로봇 개발에 참여하시는군요. 오기 전엔 이처럼 다양한 로봇이 있는 줄 몰랐어요. 모두 재활기기에서 충분히 응용 가능하기 때문에 재밌고 유익해요. 다양한 로봇을 디자인하다 보니 다양한 기술을 폭넓게 접하게 돼서 지금은 동료 ... ...
- [방학출동! 기자단2] 오감으로 느끼는 숲과 바다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지금 친구들의 주변을 둘러보세요. 아마 온통 콘크리트와 플라스틱일 거예요. 이런 삭막한 도시 공간이 답답했던 기자단 친구들에게 초청장이 도착했 ... 해양생물을 직접 소개할 수 있도록 자신감과 용기도 길러 보세요! * 용어정리오브제 : 자연물이나 생활용품을 작품에 이용한 것 ... ...
- “로봇 덕후들끼리 아이디어 나눠요”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석좌교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25일 과학동아 독자들과 만나 ‘로봇기술과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들려줄 예정이다. 오 석좌교수는 “과학동아 선배 독자로 지금의 과학동아 독자를 만난다는 사실이 설렌다”며 “나처럼 과학과 로봇을 좋아하는 덕후들과 함께 로봇의 미래를 얘기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나누는 기회가 되길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이야기하죠. 프로스트는 괴로워하며 다시 로봇의 몸체로 돌아오지만, 솔컴과 디브컴, 모오델은 논의 끝에 프로스트가 인간으로 탄생했다고 결론을 내리고 다시 육체로 되돌려 보냅니다. 프로스트는 인간의 육체에 적응한 뒤 스스로 인공지능을 관리합니다. 그리고 베타를 자신의 곁으로 불러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활용한다고 합니다. 신약 개발 초기에는 후보물질만 수십 종이거든요. 우리 대신 오가노이드로 이런 후보물질의 효과를 테스트하는 거죠. 2019년 12월 3일에는 큰 행사가 열렸어요. 저보다 먼저 떠난 우리 가족을 추모하는 위령제였죠. 마침 비도 쏟아지고 궂은 날씨였지만 과학자들이 정말 많이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내가 주인이 되는 재미있는 수학 공부, 율곡중학교 오선영 교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주면 누구나 그 결실을 맺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어요.”혹시 지금 수학 성적이 뜻대로 나오지 않는다고 수학 자체를 멀리했다면 근자감도 좋으니 “수학 별거 없어!”라고 일단 외쳐보세요. 그리고 한번 질문해보세요. 수학은 왜 배워야 할까? 정해진 답은 없어요. 내가 정한 답이 생기는 순간, ... ...
- [수학뉴스] 12세 소년의 발견! 간단한 7의 배수 판정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뺀 나머지 수와 더하고, 나온 값이 한 자릿수가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했을 때 7이 나오면 그 수는 7의 배수라고 판정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2996은 299+(6×5)=329, 32+(9×5)=77, 7+(7×5)=42, 4+(2×5)=14, 1+(4×5)=21, 2+(1×5)=7이므로 7의 배수임을 확인할 수 있는 거죠. 새로운 판정법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 책임연구원은 “이렇게 설계하면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부품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다”고 설명했다. 달 탐사는 2000년대 들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달을 화성이나 더 먼 심우주 탐사를 위한 일종의 정거장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일본, 중국, 인도, 이스라엘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