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으)로 총 1,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 툭!”온전한 치킨 닭다리에 허니콤보 소스가 적당히 묻어 나왔습니다. 소스도 새어 나오지 않고 깔끔했습니다. 대성공이었습니다. 지뇽쿤 님의 가장 큰 바람 중 하나는 사람들이 영상을 보고 “실패해도 다양한 방법으로 끝까지 시도하면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다”는 꿈을 심어주는 거라고 ... ...
- [열혈가족] 올해 목표는 거미와 친해지기! 푸른누리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Q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2학년 때부터 본 어과동은 저의 절친보다도 오래된 친구예요. 그래서 홈페이지에서 싸우거나 욕 써놓고 도망가는 친구들을 볼 때면 가서 따져 묻고 싶어요. 다들 화목하게 지냈으면 좋겠어요. 또 지사탐 대원으로서 말하자면 현장교육이 훨씬 더 많아져야 ... ...
- [만화뉴스] 지구가 거대한 망원경의 렌즈 역할을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은 렌즈의 지름이 10.4m인 ‘그랑 텔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예요. 그런데 8월 1일, 이보다 지름이 약 14배 큰 렌즈와 맞먹는 성능의 망원경을 만들 아이디어가 나왔어요. 미국 콜럼비아대학교의 천문학자 데이비드 키핑 교수가 지름 1m의 망원경 ‘테라스코프’를 달 너머에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백두대간에서 생물의 흔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팀의 황지윤 대원(강원 솔샘초)은 “조류 탐사에서 주운 노랑할미새 가슴깃털의 오묘한 색을 보고 신비로운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어요. 모든 탐사를 마친 대원들은 각 조별로 미션 카드를 작성했어요. 그리고 함께 트랩 카메라에 찍힌 동물도 봤지요. 카메라 앞을 서성이는 고라니의 모습이 ... ...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아닙니다. 즉 어떤 알고리듬의 실행 시간은 항상 같으며, 어떤 경우에도 이 시간보다 오래 걸리지는 않는다는 보장이기도 하죠! 참고자료 아디트야 바르가바 ‘그림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알고리즘’, 양성봉 ‘알기 쉬운 ... ...
- 엇, 이게 죽어? ‘랙’ 없는 온라인 게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사실 랙은 통신상 레이턴시를 일컫는 또 다른 명칭인 래그의 잘못된 표기법이다). 오 교수는 “다수가 접속하는 온라인 게임에서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회선 속도보다는 사용자 컴퓨터의 처리 속도, 모니터 성능, 개발사의 게임 서버 처리속도가 래그 발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 ...
- 마라톤 대회에 사용된 먹는 음료 캡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캡슐에 음료를 담아 나눠주었어요. 이 캡슐은 먹을 수 있는 캡슐 ‘오호(Ooho)’예요. 오호는 플라스틱보다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6주 안에 생분해되는 것이 장점이지요. 대회 관계자 휴 브래셔는 스스로 분해되는 캡슐의 사용으로 작년 대회보다 21만 개의 페트병 사용이 줄어들 것으로 추정 ... ...
- [매스미디어] 천문학의 귀재, 신입사관 구해령수학동아 l2019년 10호
- 것은 상식 밖의 일이고, 수업은 그저 시간 낭비다. 그러니 수업내용이 영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 전혀 집중을 못 하며 멍때리고 있는 이때 해령에게 선생이 사내아이 잉태 날을 찾는 질문을 한다. 하지만 해령은 전혀 당황하지 않는다. 셈법 자체는 해령에게 식은 죽 먹기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엘리베이터의 변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또 더 먼 미래에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우주로 떠날 수 있을지도 몰라요. 일본 건설업체 오바야시구미는 2050년까지 지구 밖 3만 6000km 높이까지 올라가는 우주 엘리베이터를 완성 할 계획이라고 밝혔거든요. 하지만, 운석 충돌이나 설치 비용 등 여러 극복해야 할 난관이 남아있답니다. 구슬의 ... ...
-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수학동아 l2019년 10호
- 20세에 역대 최고 학점으로 KAIST 수리과학과를 졸업한 오성진 교수가 올해 31세의 나이로 노벨상 수상자를 107명, 필즈상 수상자를 14명 배출한 세계적인 명 ... 수학은 모두에게 쉽지 않은 학문이어서 증가 속도가 점점 커지는 지수함수처럼 결국 오래 붙들고 있는 사람이 더 잘한다고 믿어요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