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ptics
기하광학
기하
물리광학
물리
뉴스
"
광학
"(으)로 총 1,049건 검색되었습니다.
'혈관 구멍' 형성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7
메커니즘 규명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서 교수팀은 단일 분자 추적
광학
현미경 영상기술, 영상 데이터의 머신러닝 분석 기술, 분석 내용을 해석하기 위한 반응-확산 모델을 활용해 PLVAP 단백질의 활동과 유창 형성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PLVAP 단백질이 ‘브라운 운동’과 ... ...
[과기원NOW] UNIST,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늘리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양자상관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양자지우개'의 선형
광학
을 이용한 위상조절변환을 통해 고전적 해상도를 초월하는 양자센싱과 비국소 양자상관성을 종래의 얽힘광자에 기초한 양자적 방법이 아닌 통상의 레이저를 이용한 고전적 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는 ... ...
[과기원NOW] 반려견 코 사진으로 ’개민증‘ 발급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의해 반전 대칭성이 깨지는 것을 검증했다. 반전 대칭성이 깨지면 물질의 전자기적,
광학
적 특성이 외부 자극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원자의 빈자리를 통해 물질 반전 대칭성을 조절하게 되면 물리학과 스핀트로닉스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 ...
'양자 얽힘'으로 파장대 넘나들며 빛의 상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성공한 것이다. 박희수 양자
광학
그룹장은 "이번 성과는 양자
광학
원리를 이용해 기존
광학
센서의 측정 한계를 돌파한 사례"라며 "센서의 측정시간을 단축하고 분해능을 높여 실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
[인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김정호 △방사능측정그룹장 황상훈 △양자자기센싱그룹장 심정현 △양자
광학
그룹장 박희수 △양자소자그룹장 심승보 △양자전기자기측정그룹장 이형규 △양자질량측정그룹장 김동민 △원자양자센싱그룹장 권택용 △반도체디스플레이측정그룹장 제갈원 △우주극한측정그룹장 김학용 ... ...
세계 최초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OLED 효율 장점 갖춰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페로브스카이트를 기반으로 탠덤 발광소자를 제작한 세계 최초의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효율·고색순도를 동시 구현하는 최적의 소자구조를 찾아 ‘하이브리드-탠덤 밸리(h-Tandem Valley)’로 명명했다. 새로운 하이브리드 탠덤 소자는 페로브스카이트 상단 유기 발광층의 ... ...
방광 종양 90% 감소시키는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이용해 방광의 다양한 층을 스캔하고 3D로 재구성해 전체 장기를 관찰할 수 있었다.
광학
시스템을 이용해 종양에 의해 산란되는 빛의 간섭을 제거해 나노로봇의 위치도 파악할 수 있었다. 산체스 교수는 “나노로봇을 이용한 치료 접근법은 효율성을 향상시켜 입원 기간과 치료 비용을 줄일 ... ...
우주 구성 거미줄 구조 '암흑물질' 필라멘트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관측 결과가 실제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해 휘어졌는지 알아내기는 쉽지 않다. 망원경의
광학
오차로 찌그러진 모양이 보이거나 개별 은하의 모양이 원래부터 찌그러져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은하의 모양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느냐에 검출의 성공 여부가 달려있다. 지 교수 ... ...
햇빛만으로 자가발열 극대화한 금나노입자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3
처음이다. 연구팀은 이처럼 균일한 코팅 기법을 이용해 금 나노막대 필름의 향상된
광학
·광열 성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리기판 위에서 잉크 형태로 개발한 금 나노막대 필름을 시험한 결과 가시광선 파장영역대의 빛을 쬐는 것만으로 방빙·제빙 역할까지 해낼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 ...
'그곳'의 털이 더 곱슬인 이유 찾는 과학자…"코팅 소재 개발할 것"
과학동아
l
2023.12.31
관찰한다. 이때 사용하는 장비는 저전압 주사전자현미경(SEM)이다. 저전압 SEM은 일반
광학
현미경으로는 관측이 어려운 물질의 미세영역을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고분해, 고배율로 확대해 보여준다. 연구팀은 저전압 SEM을 이용해 머리카락과 음모의 큐티클층과 단면을 확인했다. 큐티클은 털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