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과기원NOW] 포스텍, 눈물막 유지하는 '결막 술잔세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 外동아사이언스 l2025.04.21
- 김기현 포스텍 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김기현 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주철민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 윤창호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눈 건강에 핵심적인 세포를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현미경 기술을 ...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제2차 기초연구 전략대화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3.12
- ■ 한국기계연구원은 2030년까지 ‘Digital-KIMM’ 달성을 목표로 인공지능(AI), 반도체, 광학, 극저온, 로봇, 친환경 기계기술 연구 및 연구행정, 보안,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재를 모집한다고 12일 밝혔다. 선발 인력은 연구직, 기술직, 행정직 등 총 3개 직군 21개 분야 총 29명이다. 채용 인원 ...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천체투영관 운영프로그램 개편 外동아사이언스 l2025.03.06
- 천체투영관 운영 프로그램을 개편한다고 6일 밝혔다. 밤하늘을 가장 가깝게 표현하는 광학식 투영기를 통해 돔 스크린에서 실제 밤하늘을 보며 별자리 해설을 최초로 진행한다. 또 주말과 공휴일 1회차를 추가하고 영상물도 교체해 운영한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세계 뇌과학 주간을 맞아 14~16일 ... ...
- [과기원NOW] 포스텍, 나노 공간에서 저차원 양자물질 전자 분포 조절하는 장비 구현 外동아사이언스 l2024.11.18
-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원자힘현미경, 전도성 나노광학 안테나 탐침, 초고분해 분광장치, 고속 교류전압 펄스 발생기를 연동 결합한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 조절기를 개발해 나노 공간에서 저차원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를 조절하는 장비를 최초로 구현했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매체로 수많은 프로그램, 음악, 영화가 CD로 출시됐다. CD의 뒤를 이어 DVD, Blu-Ray 등 발전된 광학 매체가 등장했다. < 자기장 > 정보 밀도: 3.10×109bits/mm3 컴퓨터 과학자들은 20세기 초부터 자기장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를 만들었다. 이중 가장 성공한 장치는 당시 컴퓨터 기업이었던 IBM이 1957년부터 .. ...
- [4컷만화] 우주에서 명중! 레이저로 통신 성공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 때문에 우주 과학자들은 전파에 비해 훨씬 압축된 레이저로 정보를 주고받는 심우주 광학 통신을 연구해 왔습니다. 레이저는 전파에 비해 폭이 매우 좁아 정확히 겨냥하기 어렵지만, 기존 우주 전파 통신보다 한 번에 10~100배 더 많은 자료를 보낼 수 있어요. 지구에서 계속 멀어지고 있는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광륜’이라고도 불립니다. 브로켄 현상은 빛이 물방울을 지나며회절해 나타나는 대기광학 현상입니다. 회절은 파동이 장애물이나 장애물 사이의 틈을 지나며 그 주변으로 퍼지는 현상입니다. 태양 빛이 구름 사이 작은 틈으로 퍼져 나오는 걸 본 적이 있나요? 어딘가 성스러워 보이는 이 모습도 ... ...
- [과학사] 우리나라 첫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1호는 중량 470kg, 높이 2.3m, 너비 1.3m, 길이 6.9m의 거대한 위성입니다. 아리랑 1호에는 전자 광학 카메라, 해양 관측 카메라, 이온층 측정기,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등 여러 장비가 탑재되었어요. 당초 3년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던 아리랑 1호는 2007년까지 8년 동안 다양한 데이터를 지상으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