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광학"(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텔레픽스, 우주의 비밀을 알려주세요! (텔레픽스 스페이스랩& 스패이스팹 견학)기사 l20250510
- 완성된 탑재체가 이동할 때 무거운 탑재체를 옮기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사진에 큐브위성처럼 생긴 검은 방이 있는데, 이방에서 광학탑재체를 테스트 합니다. 이 방이 검은색인 이유는 검은색은 빛이 잘 들어오지 않는 색이기 때문입니다. 클린룸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 였고, 질의응답이 이어졌습니다. 질의응답에서 기자단들과 함께 10개 정도의 질문을 ...
- 스페이스 랩, 팹을 다녀와서기사 l20250504
- 이번 견학을 통해 스페이스 랩에서 광학 탑재체를 만든다는 것과 스페이스 팹에서 거울을 만든다는 걸 알았습니다. 하루빨리 국산 광학 탑재체가 위성에 실려 북극과 남극을 조사해 북극곰 같은 멸종위기 동물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장현우 기자였습니다 ... ...
-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 그것이 알고 싶다!기사 l20250503
- 7호는 올해 하반기에 우주로 발사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빨리 하반기가 오면 좋겠네요!) 이 1톤이 넘는 아주 큰 위성의 외쪽 끝에는 광학 카메라가 있는데, 해상도가 30cm (사진의 픽셀의 가로/세로가 30cm) 이기 때문에우주에서 30cm의 물건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나가는 자동차의 종류까지 구분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사진을 찍을 ...
- 두근두근 2025년 과학기술축제 항공우주연구원을 취재하다!기사 l20250503
- 실용위성으로 아리랑 위성 시리즈 중 가장 최신 기종입니다. 위성체와 탭재체 모두 국내기술로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높은 해상도의 광학 영상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어서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는데 그 중 강원도에 큰 산불이 났을 때 이것을 찍었다고 합니다. 산불, 홍수,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 발생시 보다 빠른 영상을 받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텔레픽스, 인공위성의 시대를 앞서가다기사 l20250502
- 있는 지구를 자세히 관찰할까? 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인공위성에는 카메라가 들어가는데 그것을 광학탑재체라고 합니다. 광학탑재체는 간단히 말해 먼 곳을 보는 렌즈와 거울이 들어 있는 망원경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위성으로 관측한 정보는 어디에 쓰이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우주에서 위성으로 관측 ...
- 텔래픽스(스패이스 랩/팹) 견학에 다녀 왔습니다기사 l20250501
- ” 하는 궁금증이 생겼는데, 그 이유는 바다, 도로, 건물, 산 등을 관측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위성에 들어가는 이 카메라는 광학 탑재체라고 부릅니다. 망원경에는 렌즈와 거울이 들어가는데, 렌즈는 빛을 통과시키고, 거울은 빛을 반사합니다. 이렇게 위성으로 관측한 정보는 기상청의 날씨 예보, 뉴스에서의 재난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됩 ...
- 우주항공의 어벤져스 멤버가 되고 있는 항우연(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50427
-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다누리'의 실시간 위치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다누리는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선으로 '섀도우캠'이라는 광학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섀도우캠은 빛이 없을 때만 사진을 잘 찍을 수 있는 특별한 카메라입니다. 달에는 햇빛을 받는 부분도 있지만 받지 않는 부분도 있고, 특히 크레이터 중 영원히 햇빛이 닿지 않는 영구 ...
- [우주기자단] 제6회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을 다녀와서기사 l20250424
- 갔습니도. 천체들의 중력으로 생긴 길(궤적)을 이용해 4.5개월에 걸쳐 달에 도착했다고 합니다. 이 다누리에는 섀도우 캠이라는 특별한 광학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데요, 이 카메라는 빛이 없어도 사진을 찍을 수 있다고 합니다. 왜 빛이 없어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가 필요할까요? 먼저 달 탐사의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달 탐사의 ...
- 소행성 2024 PT5: 지구의 새로운 미니문기사 l20240922
- 일반적인 천문 관측 장비로는 볼 수 없지만, 전문 천문대에서는 충분히 관측이 가능합니다. 연구팀은 2024 PT5의 스펙트럼 분석과 광학 관측을 통해 소행성의 물리적 특성과 기원을 밝힐 계획입니다. 또한 이번 사건은 과거에 있었던 다른 미니문 사건들과도 유사합니다. 대표적으로 2006년 RH120과 2020년 CD3 등이 지구의 임시 ...
- 대한민국의 하늘을 연결하다, KVN 전파천문대기사 l20240903
-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분해율이 클수록 망원경에서 찍은 사진의 해상도가 높아집니다. 옛날에 있던 구경이 40cm짜리 광학망원경은 별들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해상도가 아주 안 좋았지만, 최근 발사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구경이 7m나 되서 별들은 물론 성운과 은하들까지 찍혔습니다. 그 정도로 구경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또한 우리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