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뉴스
"
대뇌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충동적 행동 조절하는 신경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8
도파민 수용체 D2형이 충동성 조절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편도체는
대뇌
변연계의 아몬드 모양 부위로 감정과 정서를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D2형 수용체는 운동, 인지, 동기 부여에 영향을 주는 다섯 가지 도파민 수용체 중 하나다. 연구진은 ADHD환자들의 진단에 사용되는 ... ...
아기 새는 '비브라토'로 노래를 배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능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억제하는 약물도 연구하고 있다. 고지마 책임연구원은 “
대뇌
기저핵이 인간의 언어 습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며 “새의 노래 학습 과정을 밝혀 인간 언어 습득의 비밀을 풀고, 나아가 성인이 외국어를 완벽하게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을 발견하고 ... ...
고해상도 뇌혈류지도로 뇌경색 예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치료제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혈류지도는
대뇌
동맥이 지배하는 뇌의 영역을 영토처럼 구분한 것이다. 현재 병원에서 쓰는 뇌혈류지도가 20~100여 명의 적은 수의 표본 데이터에 기반해 만들어져 해상도가 떨어졌다. 연구진은 11개 대학병원의 1160명의 ... ...
급하게 외울 게 있다면? ‘가볍게 자전거 10분’부터!
동아사이언스
l
2018.09.25
구체적 기억을 가공하는 해마의 활성이 증가하고, 치아이랑(hippocampal dentate gyrus)과
대뇌
피질 사이의 신경 연결성이 강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총 책임자인 마이클 야사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해마는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내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기관이지만, 나이가 들면서 ... ...
영장류-인류 언어 능력 차이, 비밀은 뇌 곳곳의 ‘크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만드는 근육을 조절하는 뇌 영역인 뇌간신경핵과, 인지 및 자발적 운동 통제를 담당하는
대뇌
피질 연합영역의 크기와 비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혀 아래에 위치한 신경 영역의 크기도 연합영역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던 교수는 “우리와 가장 가까운 영장류로 올수록 혀를 ... ...
[카드뉴스] 뒤돌아서면 잊어버리는 그대에게
동아사이언스
l
2018.08.08
좋게 합니다. 과도하게 심장과 뇌를 흥분시키기보다 스트레칭이나 피부마사지 등이
대뇌
를 맑게 해주죠. 뇌로 가는 혈류가 증가하면 도파민,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생성하고 전달|하는데 도움이 돼 뇌 기능에 영향을 줍니다. 감정을 표출하자 기억력을 높이고 싶다면 감정 표현에 ... ...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내 목소리가 들리나요
과학동아
l
2018.08.01
손상된 망막을 대체하는 것이 인공망막이다. 인간의 망막에는 빛을 전기 신호로 바꿔서
대뇌
시각피질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광수용체 세포가 있다. 이들 세포가 손상되면 빛이 망막에 들어와도 전기 신호가 생성되지 않고 뇌가 빛을 볼 수 없다. 인공망막은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냄새를 맡는 것과 관련된 후각상피가 아니라 뇌세포에서 발현이 변한다. 예를 들어
대뇌
피질과 흑질(Substantia nigra) 세포에서 발현하는 후각수용체 유전자 가운데 OR2L13을 비롯해 다섯 가지의 발현량이 파킨슨병 초기 환자에서 뚝 떨어진다. 한편 만성 조현병의 경우도 후각수용체 발현 이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뇌는 19그램에 불과해 몸무게 대비 무게가 가장 덜 나가는 포유동물이다. 그나마
대뇌
피질도 주름이 거의 없어 표면적도 작다. 뇌는 두개골 내부의 60%를 차지할 뿐이고 나머지는 뇌척수액이 채우고 있다. 폴란은 “코알라에게 뇌보다 중요한 것은 소화관”이라며 “섬유질이 많은 잎들을 모두 ... ...
[카드뉴스] 보이지 않아도 알아요
2018.07.12
이는 쉽게 휘어져서 몸에 붙여도 잘 떨어지지 않는다. 연구팀은
대뇌
피질처럼 주름진
대뇌
피질 등에 안정적으로 붙여 알츠하이머 등을 모니터링하고 치료할 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키리가미 방식: 종이접기와 자르기를 통해 평면 구조를 입체 구조 만드는 기술) 생활 공간 곳곳에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