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뉴스
"
대뇌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수면 뇌파 조절하면 학습내용 2배 잘 기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동시에 발생해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는 것”이라며 “해마에서 생성된 학습정보가
대뇌
피질의 전두엽으로 전달돼 장기기억이 강화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연구진은 공포 기억에 대한 회상을 줄이는 실험도 수행했다. 광유전학 자극으로 시상 신경세포를 반대로 억제하면 기억을 ... ...
[카드뉴스]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두께의 전극을 삽입하고 전류를 통해 뇌세포의 활성을 조절합니다. 저장강박증도 결국
대뇌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결과입니다. 단순히 애지중지하는 물건을 모으는 정도를 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저장강박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참고: 과학동아 2012년 07월호 ‘못 버리는 것도 병, ... ...
[카드뉴스] 공포의 기억, 지워버릴 순 없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5.21
후에 경험으로 배우는 후천적 공포로 나뉩니다. 공포의 발현과 기억에는 양쪽 귀의 안쪽
대뇌
부위에 위치한 아몬드 모양의 소기관 편도체가 중추적 역할을 합니다. 공포 기억이 저장되는 곳은 편도체로 들어가는 신경세포의 축색돌기와 편도체 안에 있는 신경세포 사이인 편도체 시냅스입니다. ... ...
[카드뉴스] 내 몸에 맞는 생체시계 공부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5.18
수 없죠. 인간은 받아들인 정보를 뇌 속 해마에 보관했다가 자는 동안 필요한 기억만
대뇌
신피질로 보냅니다. 여기 저장돼야 다시 꺼내 쓸 수 있는데 이 과정이 6시간 정도 걸립니다. 만약 잠을 적게 자면 해마가 시간이 없어 처리하지 못한 정보를 모두 필요 없는 기억으로 분류해 싹 지워버리는 ... ...
[작심일일 운동기② VR운동] ‘플랭크’ 버티는 시간, VR로 늘릴 수 있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뇌는 자체적인 시계로 시간을 잰다. ‘시간간격 시계’라고 하는 이 시계는 상황에 따라
대뇌
피질 세포들의 반응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뇌의 각 영역엔 각기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시계가 있다. 게임이 운동보다 즐거운 것은 아마 게임을 할 때 활성화되는 뇌 부위의 시간간격 시계가 ... ...
새해결심 벌써 실패한 당신을 위한 3가지 과학적 변명
2017.01.06
일단 습관이 들면 그 행동을 쉽게 그만두지 못하는 이유 역시 뇌다. 뇌의 기저핵(
대뇌
속질 중앙의 신경 세포체 집단)엔 어떤 행동에 대해 ‘그만’ 혹은 ‘계속’의 신호를 보내는 두 가지 신경회로가 있다. 미국 듀크대 연구진은 레버를 당기면 사탕이 나오는 기계를 통해 쥐에게 레버를 당기는 ... ...
미켈란젤로 ‘아담의 창조’의 비밀
팝뉴스
l
2017.01.03
손을 뻗은 신과 주변의 천사는 사실 인간 뇌의 형상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대뇌
는 물론 척수 소뇌 추골동맥 등과 해부학적으로 모습이 거의 일치한다는 그의 주장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하기 충분했습니다. 미켈란젤로는 인간의 뇌가 곧 신의 연장이거나 신의 선물이라고 봤을까요? 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수면 회로 자체의 변화에 따른 생리적인 반응이라는 말이다. SIK3는 단백질인산화효소로
대뇌
피질과 시상, 시상하부, 뇌간 등 수면조절과 관련된 부위에서 폭넓게 발현된다. 연구자들은 수면 결핍의 정도에 따라 SIK3의 인산화 정도가 바뀌면서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변이 SIK3 ... ...
신앙에 빠진 사람 뇌 속에선 ‘보상회로’가 움직인다
2016.11.30
직전 1~3초간 참가자들의 뇌 속 '보상회로'가 자극되는 것을 확인했다. 중뇌 부분의 ‘
대뇌
변연계(limbic system)’에서 감정을 조절 구역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가치나 판단, 도덕적 합리성을 결정하는 부위인 전전두엽피질 역시 활성화됐다. 앤더슨 교수는 “종교가 사람이 좋은 것과 ... ...
치매 원인물질 두 종류 한 번에 치료한다
2016.11.21
생쥐의 인지기능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됐다. 쥐의 인지 능력을 관장하는 뇌의 해마와
대뇌
피질 부위에 있는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가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타우 단백질의 과도한 인산화나 응집현상 역시 억제됨을 확인했다. 이 결과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되면 나타나는 뇌 신경세포의 사멸이나 뇌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