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뉴스
"
대뇌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지 마비환자, 3년 반 만에 손으로 기타 치고 컵에 물 부어
2016.04.14
내리는 명령을 읽어내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컵을 쥐고자 하면 우선
대뇌
에 이식된 전극이 신호를 감지한다. 뉴럴 바이패스는 그 신호를 ‘컵을 쥐고자 한다’는 것으로 해석해 손목의 전극 패치로 전달한다. 그럼 환자는 스스로 팔 근육을 조정해 컵을 쥘 수 있게 된다. ... ...
“정신건강 전문가, 10만 명당 9명 꼴”
2016.04.10
전 세계를 의미하는 지구본과 평화의 상징인 올리브 가지로 이뤄진 뇌 형상이 담겼다.
대뇌
를 나타낸 지구본 위에는 꽃이 핀 넝쿨식물이 전 세계를 하나로 이어주듯 얽혀 있다. 인류의 정신건강을 위해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 전 세계 인구 30% 정신질환 ... ...
[만우절 기획] 문자 vs. 영상통화 vs. 대면, 거짓말 제일 많이 하는 경우는?
2016.04.01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를 2012년 발표했다. 피노키오 효과는 신체의 체온 조절을 담당하는
대뇌
피질 속 ‘섬엽(insula)’이 오작동을 일으키며 나타난다. 평상시에는 신체 특정 부위의 온도가 올라가면 섬엽이 이를 인지하고 온도를 내린다. 하지만 진짜 감정을 숨기는 등 거짓말을 할 경우에는 섬엽이 ... ...
빛과 열로 신경세포 활성 조절
2016.03.30
신경세포의 활성을 자유롭게 억제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며 “해마세포뿐만 아니라
대뇌
피질세포 등 일반적인 신경세포에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학술지 ‘ACS 나노’ 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환자,
대뇌
피질 더 두껍다
2016.03.01
경향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 PTSD 징후가 심할수록 시각적 정보 처리를 담당하는
대뇌
설전부 피질 두께가 더 두꺼웠다. 공 교수는 “PTSD 환자들이 기억을 떠올리는 과정에서 시각적 변화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뇌 회백질의 두께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이라며 “PTSD 환자들의 뇌 ... ...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
과학동아
l
2016.02.26
알 수는 없지만, 뇌 신경전달물질과 관련된 유전자도 술버릇을 결정해. 알코올 의존증은
대뇌
보상회로와 충동조절회로의 작용으로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 예를 들어, 중독 물질이 들어와 보상회로에 작용하면 즐거움이 생기고 ‘긍정적 재강화’를 일으켜 계속 중독물질을 찾게 한다는 거지. ... ...
이광수가 연기한 ‘(음성) 틱 장애’ 원인 찾았다
2016.01.21
이용해 음성 틱 장애를 보이는 동물모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원숭이의
대뇌
시상 아래에 위치한 ‘조가비핵’에 약물을 가해 과활성시키자 원숭이는 음성 틱 장애를 가진 환자처럼 간헐적으로 소리를 습관적으로 내기 시작한 것이다. 연구진은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 ...
[Health&Brauty]심박동기·척수자극기 이식 환자도 MRI 검진 가능해져
동아일보
l
2016.01.13
중추신경인 척수의 말단에 전류자극을 가합니다. 이 섬세한 전류자극이 말초신경을 통해
대뇌
로 올라오는 통증신호를 대신하면서 만성통증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증상의 악화를 막아 줍니다. 통증환자에 이어, 운동장애 환자들도 MRI 장비 속으로 당당히 들어갈 길이 열린 것은 최근의 ... ...
‘육감’ 실제로 존재…걱정 많은 사람이 위험 빨리 알아채
2015.12.30
확인했다. 뇌파 측정 결과, 걱정이 많은 조는 느긋한 조보다 ‘운동’ 영역을 담당하는
대뇌
피질이 더 활성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차이 때문에 걱정이 많은 사람들이 위험 요소를 더 빠르게 인지하고 반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즉 걱정이 많은 사람이 생존에 더 효과적인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
대뇌
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받았다. 허블은 노벨상수상강연에서 “체감각피질의 기둥구조 발견은 라몬 이 카할 이후
대뇌
피질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며 마운트캐슬의 공로를 인정했다. 마운트캐슬은 학과장을 비롯해 여러 학회지의 편집장 등 행정업무도 많았지만 아침 일찍 출근해 모든 업무를 오전 9시까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