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뉴스
"
대뇌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담배 오래 피울수록 치매 일찍 온다
동아일보
l
2015.08.25
나이, 음주량, 비만 등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흡연이 지속되는 동안 신경이 손상되어
대뇌
피질의 두께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게 확인됐다”며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을 위해서라도 금연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세형 기자 turtle@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dural sinuses)과 나란한 방향으로 림프관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경막은 좌우
대뇌
와 소뇌를 감싸는 막으로 그 사이에 있는 정맥들을 통칭해 경막정맥동이라고 부른다. 연구자들은 정맥동에서 T세포의 분포를 보기 위해 T세포 표면에 있는 CD3e라는 분자를 표지했는데 흥미롭게도 일부가 ... ...
‘멍 때리는 시간’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15.04.19
결정을 내리기 때문이다. 또 본능에 충실한 림비에게 사랑은 성관계와 동의어이지만,
대뇌
피질과 협력하면 욕망보다는 관계에 집중하고, 서로에 대한 배려가 일상이 되는 사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발휘할 수 있는 물리적인 능력은 한정돼 있는데, 복잡한 세상의 흐름을 억지로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 신경공학저널 제공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의 제프리 카파도나 교수팀은 뇌의
대뇌
피질에 이식하는 미세전극에 해삼의 전략을 적용했다. 즉 신경계 질환을 치료할 때 미세전극이 유용하지만 자칫 뇌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카파도나 교수팀은 해삼에 영감을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되고, 이 자극은 척수를 따라 뇌에서 감각을 처리하는
대뇌
피질(두정엽)에 전달돼요.
대뇌
피질은 이 자극을 가려움이라고 판단하고, 긁으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지요. 모기에 물렸을 때를 떠올려 보세요. 빨갛게 달아오르며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을 느끼게 되죠? 모기의 침이 피부를 찌르면 염증 반응이 ... ...
유인원에서 인간으로 진화시킨 ‘뇌확장 유전자’ 찾았다
2015.03.01
유전자를 발견했다.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유인원에 비해 인간의 지능이 뛰어난 까닭은
대뇌
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두꺼운 신피질(neocortex) 덕분이다. 인간의 뇌가 다른 동물에 비해 주름이 심한 이유도 신피질이 한정된 공간 안에 구겨져 빼곡히 담겼기 때문이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와일랜드 ... ...
신생아에게 엄마 목소리 자주 들려주세요
2015.02.24
알려져 있었다. 반면
대뇌
의 앞부분인 전두각과 우뇌와 좌뇌 사이에 있는 뇌량 같은
대뇌
의 다른 부분은 크기가 비슷했다. 연구팀은 “적어도 청각을 담당하는 뇌 부분이 성숙하는 데는 경험이 중요한 것 같다”며 “앞으로 이 시기의 뇌 발달이 아이의 언어 발달과 듣기 능력을 실제로 ... ...
필로폰 맞은 청소년 뇌가 어른보다 더 심각하게 망가진다
2015.02.16
훨씬 취약하다는 의미다. 필로폰에 중독된 청소년들은
대뇌
피질뿐 아니라 더 안쪽의
대뇌
백질에서도 손상이 나타났다. 필로폰에 중독된 청소년의 뇌에서 성인 중독자보다 더 많은 손상이 나타난 영역. 왼쪽부터 두정엽과 전전두엽, 쐐기앞소엽. - 이화여대 제공 문제는 필로폰 뿐만 아니라 ... ...
‘뉴로마커’가 예측하는 나의 미래
2015.01.09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옥스퍼드대 출판사가 발행하는 뇌과학 저널인 ‘
대뇌
피질’에 실렸다. 난독증에 관여하는 뇌 부위는 전두엽 하이랑(붉은색)으로 이 부위가 활성화될수록 난독증을 치료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왼쪽). 수학 실력은 기억과 학습 능력을 관장하는 해마의 ... ...
조울증, 결국 뇌세포가 원인이었어!
2015.01.06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이오와대 제공 뇌 영상을 비교한 연구진은 조울증 환자들의
대뇌
백질과 소뇌에서 MRI 신호가 강해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 신호는 해당 부위의 산성도가 높아지거나 포도당 농도가 낮아질 때 나타나는 것으로 뇌세포의 대사활동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소뇌의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