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뉴스
"
대뇌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경제 박람회 '속 빈 강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교수팀이 개발한 ‘휴대용 뇌 영상 촬영 장비(NIRSIT)’. 파장이 다른 두 근적외선의
대뇌
피질 투과성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뇌 활성화를 파악하는 이 장비를 머리에 쓰면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뇌의 산소 포화도가 나타난다. - KAIST 제공 ... ...
‘본분’ 망각한 영어교육, ‘숫자’로만 존재
동아사이언스
l
2013.12.08
하나의 언어를 쓰는 사람과 언어 두 개를 번갈아 사용하는 사람의 뇌에는 차이가 있다.
대뇌
의 기저핵 중 미상핵(caudate nucleus)의 활성화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그래도 영어를 반복적으로 낭독하고 모국어로 개념을 익히는 등의 노력을 하면 영어를 잘 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 ‘콩글리시’로 ... ...
가난한 아이들에게 관심 가져야 하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28
충동성 등으로 어린아이 중 약 5%가 이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뇌
피질의 발달 지체가 ADHD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어떤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일으키는 것인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진 것이 없었다. 러셀 교수팀은 영국의 생후 9개월부터 11살까지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 ...
당신이 악당에게 연민을 느끼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10.23
사람이 괴로워하는 두 가지 다른 영상을 보여줬다. 동시에 ‘고통 망’이라고 불리는
대뇌
피질을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관찰했다. 고통 망은 다른 사람의 고통에 공감할 때 활성화되는 뇌 부위다. 분석 결과, 놀랍게도 참가자들의 고통 망은 반유대주의 사람이 고통 받는 영상을 봤을 때 더 ... ...
'답정너'에게 필요한 그것
동아사이언스
l
2013.09.15
받아들인 정보가
대뇌
까지 전달되는 '정방향' 과정을 객관적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대뇌
에서 판단을 거쳐 다시 감각이나 운동기관으로 신호를 보내는 '역방향' 과정에서는 적절한 왜곡이 생긴다. 그래서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데 익숙하다. 약속에 늦는 친구를 ... ...
폭염 시작… 열실신 주의!
동아일보
l
2013.08.05
쓰러진다. 갑자기 고온에 노출되면 말초 혈관이 확장되고 혈액이 다리에 몰려서
대뇌
에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탓이다. 이런 증상은 육체노동을 하지 않더라도 갑작스럽게 올 수 있다. 이때는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면 대부분 곧바로 회복된다. 다리 쪽을 높게 해줘도 도움이 된다. ... ...
껌 씹으면 잠이 깬다? 효과 2~3분이면 끝나
동아일보
l
2013.07.30
않다. Q: 껌 과자 등 씹을 거리가 졸음을 쫓는 데 도움이 된다? A: 턱을 움직이는 행위가
대뇌
에 자극을 줘서 일시적으로 잠을 쫓을 수 있지만 이는 길어봐야 2, 3분밖에 지속되지 않는다. 노래 부르기, 찬바람 쐬기도 마찬가지다. Q: 운전 중 몇 분 정도 자는 게 좋을까? A: 전문가들은 대부분 20분 이내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대뇌
피질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학습기능에 있다는 것. 즉 인류의 인지혁명은 단순히
대뇌
피질의 팽창으로 이뤄진 게 아니라 다른 뇌 부위와의 새로운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카우프만 교수는 “우리는 여전히 우리의 마음과 뇌, 행동의 진화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게 ... ...
이전
25
26
27
28
2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