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
경작
양성
양식
교화
재배식물
식물
뉴스
"
재배
"(으)로 총 39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반식물반'?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다양한 환경, 보건 이슈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공방을 주고 받았다. 아무리 식물이라도
재배
과정에서 과도한 농업용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견과류인 아몬드나 호주 농장의 경우 물의 집약적 사용이 큰 환경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런 지적에 시너 대표는 “우리는 베트남 산간지역에서 ... ...
우주에서도 확인한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관측한다는 계획이다. 케르너 교수는 “위성 데이터와 기계학습을 사용해 작물이
재배
되는 위치를 지도화하고 있다”며 “미국의 옥수수와 대두, 러시아의 밀 등 주요 작물을 관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눈이 쌓인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 시에라네바다 산맥 위를 NASA의 연구용 항공기 DC-8이 ... ...
[주말N수학]항공우주 영상 분석 뒷받침하는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08.15
촬영한 영상도 분석한다. 녹조 같은 수자원 오염 상황을 모니터링하기도 하고, 농작물
재배
면적을 분석하기도 한다. 또 삼림 분야에서는 활엽수와 침엽수의 분포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소나무 재선충 같은 병충해가 퍼지는 것도 감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진뿐 아니라 동영상에서 사람을 찾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필요한 시점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기후변화가 가속화된다면 한 세대 뒤 우리나라의
재배
품종에도 침수 내성 벼의 Sub1A 유전자가 들어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심수 벼는 침수가 되면 위쪽 줄기가 하루에 25㎝나 자라 물 밖으로 머리를 내민다. 물이 빠지면 식물체가 쓰러지지만 말단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고장나면서 라이코펜이 축적돼 과육이 빨간 품종이 등장했다. 실제 달콤한 수박
재배
품종 가운데 속이 빨간색인 것들은 모두 LCYB 유전자가 변이형인 반면 노란색인 20가지와 주황색인 14가지 모두 기능을 하는 야생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쓴맛은 완전히 사라져 야생 수박의 속은 흰색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미생물 품은 오아시스 ‘기사회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7.05
시작했기 때문이다. 알팔파라는 작물은 장미목 콩과로 ‘자주개자리’로 불리며
재배
하는 데 물이 많이 소요된다. 그러나 살디바르 교수와 여러 과학자들의 이 곳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생태계 보존을 위한 멕시코 비정부기구인 ‘프로나투라 노르에스테’가 몇 주 안에 ... ...
지구온난화 대처 도움될 줄 알았던 숲가꾸기 독(毒) 될 수도
연합뉴스
l
2020.06.24
당국의 느슨한 법 집행과 예산의 한계로 기존 자연림을 없애고 유실수나 고무나무 등을
재배
하는 수목형 농장(tree plantation)으로 바뀌는 것을 막지는 못해 부작용을 초래한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멀쩡한 숲마저 수목형 농장으로 바꿔버렸다는 것이다. 수목형 농장은 탄소 저장이나 ... ...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변천 과정을 세밀히 밝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공개했다. 이 지역은 최초로 기장을
재배
하는 등 인류 문명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곳이다. 연구 결과 요하 서쪽 유역의 인류는 중원 지역에 거주하던 집단과, 아무르강 지역의 집단 사이의 끊임없는 교류 결과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 ...
지구의 날 50주년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느낀다”고 말했다. 카야포 부족은 67종의 고구마와 46종의 카사바, 13종의 옥수수 등을
재배
하고 있다. 품종이 다양해진 것은 이른바 ‘종자 은행’을 개선하기 위해 수세기에 걸쳐 다른 마을과 씨앗을 교환하고 복제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과학자들이 전세계 식량 안보를 위해 종자은행을 ... ...
'지구를 생각하는' 독자들이 주목한 환경 뉴스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강원 지역도 앞다퉈 사과
재배
지를 늘리고 있다. 강원 정선군은 이달 23일 2022년까지 사과
재배
면적을 300헥타르(ha)로 늘린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계속보기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3817 ) ●그린란드 빙하 3조8000억t 사라졌다...녹는 속도 90년대보다 7배 빨라 (2019.12.11) 그린란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