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뉴스
"
지층
"(으)로 총 25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준연, 백년의 난제 ‘플라스마 히스테리시스’ 현상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한다. 과학계에서도 많은 비밀을 담고 있는 주변 환경 속 과거에 관심이 많다. 옛
지층
을 연구해 인류의 발자취를 찾고, 먼 과거에서 날아온 빛을 통해 당시 우주의 상태를 분석한다. 우리를 둘러싼 작은 세계를 연구하는 물리학계에선 이 같은 과거를 특별히 히스테리시스(이력) 현상이라 부른다. ... ...
[짬짜면 과학 교실] 지구의 잠버릇
2018.03.31
큰 지진은 지구의 지형을 바꿔 놓을 정도로 강력하지만, 지진이 일어나지 않는 곳에서도
지층
은 아주 조금씩 움직여서 해마다 몇 센티미터씩은 한쪽으로 서서히 이동하고 있습니다. 사진 GIB 제공 화산의 한자어는 불 화(火), 뫼 산(山)입니다. ‘불로 만들어진 산’이라는 뜻인 화산은 용암과 ... ...
슈퍼 화산 폭발로 인류 멸종할 뻔...당시 폭발 위력 증거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8.03.13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에 참여한 미국 애리조나대 고고학과 커티스 마르엔 교수는 “
지층
에서 초기 현대인이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도구들이 발견된 걸 볼때 약 9만년 전부터 오랫동안 사람들이 집단 거주 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토바 화산 폭발 이후에도 생존이 가능했던 것”이라고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강력한 신념에 가려질 뻔한 네안데르탈인의 진실
2018.03.11
살았다는 것이죠. 파격적인 주장이었습니다. 홍적세라는 이름은 홍수로 인해 쌓인
지층
의 시기라는 뜻입니다. 노아의 홍수가 일어난 때라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러니 노아와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다른 종족이라는 주장은 받아들여질 수 없었습니다. 성경에는 ‘다른 인류’에 대한 구절이 ... ...
블랙팬서, 비브라늄 슈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03.09
10~15km의 소행성이 충돌하면서 공룡이 멸종됐다는 가설의 핵심 증거로 지목된다. 당시
지층
에서 무려 30배나 많은 이리듐이 검출됐기 때문이다. 영화에서도 공룡 멸종설과 유사한 내용이 등장한다. 비브라늄을 함유한 운석이 떨어져 지구의 식물상이 변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둘 사이에는 ... ...
[짬짜면 과학 교실] 자연이 쓴 역사책
2018.03.03
그 공룡은 채 식지 않은 용암에 쓰러져 불탔을 겁니다. 이런 짐작이 가능한 걸 보면
지층
과 화석은 자연이 쓴 역사책입니다.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과 이 있으며, 동아사이언스에서 [생활의 시선]과 [때와 곳]을 연재했다. ... ...
국내 最古 유골 흥수아이, 구석기인 아닐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당시부터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발굴에서 중요한 증거인 출토
지층
등의 엄밀한 기록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대퇴골 등 긴뼈의 계측치도 누락돼 있었다. 구석기인이 아닐 가능성이 줄곧 제기됐지만, 누구도 입 밖에 꺼내지 않았다. 고고학계 한 원로는 이를 “침묵의 ... ...
1억 년 전 한반도는 '도마뱀-개구리 천국'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김복철 박사 등과 함께였다. 이들은 깎아지른 절벽을 탐사하던 중 1억1000만 년 전
지층
에서 가정용 도마 두 배 크기의 길쭉한 이암 판에 찍힌 특이한 발자국을 발견했다. 이는 길이가 1.9~2.2cm로 작았는데 모양이 이상했다. 구부러진 발가락이 바깥으로 갈수록 점점 길어져, 네 번째 발가락에서 최고 ... ...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6만4000년 전 동굴 벽화 주인공으로 밝혀져
2018.02.23
발견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동굴 내에서 발굴된 석기와
지층
정보를 바탕으로 약 4만 년 전의 네안데르탈인이 이 그림을 그렸을 것으로 추정했다. 당시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도 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고 이를 표현할 능력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2014년 ... ...
3개월 만에 발생한 지진이 포항 지진 여진인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2.11
달라진다. 잔잔한 수면에 돌이 던져진 것처럼 새로운 움직임이 생긴다. 소규모 단층이나
지층
에 있는 균열이 더 커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진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포항 지진은 규모 5.4로 기상청이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역대 두 번째로 에너지가 큰 지진이었다. 이 지진에서 발생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