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뉴스
"
지층
"(으)로 총 258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도? 규모? 지진용어...얼마나 알고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9월 발생한 경주지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으로 특히 경상도 지역
지층
활동에 대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지진이 일어날때마다 쏟아지는 뉴스속보와 매체의 보도 속에서 우리는 과연 지진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지진상황에 현명하게 대처하려면 진도와 규모 등 ... ...
(상보) 포항에 역대 두 번째 강한 지진… 경주지진보다 진원 얕아 피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이 연구원은 “경주와 달리 포항의 지반은 불과 1730만 년 전~1200만 년 전 형성된
지층
이 1200만 년 전(마이오세)에 양산단층을 따라 해저에서 융기한 이암으로 이뤄져 있어 약하다”며 “그 아래로도 약한 편인 역암이 자리해 있어 포항 지역의 건축물에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
판 구조론의 현장 샌 안드레아스 단층, 그 거대한 힘을 목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06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태평양판과 북미판의 충돌은 북아메리카 서부에 거대한
지층
변화를 일으킵니다. 캐나다와 미국의 북부에서는 판의 섭입하는 섭입대가 있습니다. 태평양판의 남동쪽인 남아메리카 서부에도 같은 이유로 섭입대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간에는 두 판이 서로 ... ...
산타크루즈 해변에 맞닿아...해저단층 조사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31
지역 예술 작가들과 과학자들이 협력해 만든 미술 작품입니다. 해저 지형도나
지층
단면도를 보고 영감을 받았습니다. 작품에 참가한 존슨 연구원은 “연구 자료가 미술 작품이 되는 것은 대단히 특이하고 재미있는 경험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자유롭고 창의적인 분위기 덕분에 흥미로운 ... ...
[뉴스 되짚어보기] ‘농작물’ 진화 시작은 3만 년 전?
동아사이언스
l
2017.10.26
흥미 있는 분들을 위해 조금만 설명해 보면 이렇습니다. 예를 들어, 1만2000년 전쯤의
지층
에서 토양 203L를 분석해 2만 1000개의 생물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조상들의 식단을 재구성한 결과, 1만 1700년 전부터 1만 700년 전 사이에는 야생 보리가 많이 발견되고 야생 밀이 조금 ... ...
무등산 포함한 한반도 남부 화산, 백악기 맨틀 흐름으로 만들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22
현재
지층
형태를 바탕으로 중생대 당시의
지층
움직임을 재현했다. 한반도 남부
지층
만으로는 제대로 재현할 수 없어 중국과 일본 자료까지 모았다.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3차원 컴퓨터 수치모델링을 진행해 중생대 백악기 당시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재현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중국 내부에 맨틀 ... ...
시판 일회용 생리대 10종 재료 분석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
과학동아
l
2017.10.02
있다. 방수층으로는 분석 대상이 된 제품 10개 모두 폴리에틸렌 필름을 쓰고 있었다. 표
지층
에 쓰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달리 생리혈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은 뚫려 있지 않다. 대신 눈에 보이지 않는, 지름이 수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인 미세한 구멍이 있어서 물은 막고 공기는 ... ...
北핵실험 증거 ‘방사성 기체’ 검출, 찾을 수 있을까
2017.09.08
제시된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핵실험 뒤 나타나는 효과 중에
지층
에 누적된 힘이 핵실험으로 생긴 빈 공간 쪽으로 일시에 풀려 나가는 ‘응력배출(Tectonic release)’ 현상이 있을 수 있다”며 “이번 2차 지진의 원인으로는 이쪽이 더 신빙성 있다”고 주장했다. 인공지진 ... ...
함몰지진? 암반파열? 늘어나는 북핵 2차 지진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9.05
함몰지진 외에도 ‘지구조 응력배출(Tectonic release)’이 있다”며 “수만 년 동안 누적된
지층
의 힘이 실험으로 생긴 빈 공간 쪽으로 쏠리면서 일시에 풀려 주변에 지진파의 형태로 퍼지는 현상인데, 이번 2차 지진의 원인으로는 이 쪽이 더 신빙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원영 미국 컬럼비아대 라몽 ... ...
2022년, 한국 해저탐사선 전 세계 바다 누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1
본부장은 “탐해 3호를 투입하면 조사 지역의 정밀한 3차원(3D)
지층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지층
의 단면만 파악할 수 있던 기존 장비보다 석유가스자원 탐사의 시추 성공률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