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
곱
뉴스
"
2배
"(으)로 총 6,169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점유율 6년 전보다
2배
이상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1.20
전체 점유율이 20.4%로 전년보다 2.5% 향상됐다. 2018년과 비교하면 중국의 HCR 점유율은
2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HCR을 가장 많이 배출한 연구기관은 중국과학원이 308명으로 1등을 차지했다. 올해 전세계에서 HCR을 배출한 국가·지역 순위. 클래리베이트 제공 미국은 올해 2507명의 연구자를 HCR 리스트에 ... ...
금기창 연세의료원장 "상반기 손실 1200억…다양한 수익구조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20
금기창 연세의료원장이 19일 연세대 백양누리 진리홀에서 열린 기지간담회에서 의료원 운영계획을 소개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의료환경의 변화 속 진료 수익만으로는 미래의료를 준비하기 힘들어졌습니다. 앞으로 연세의료원은 진료 외에도 다양한 수익구조를 만들어 성장할 것입 ... ...
박상욱 과기수석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도입해 경쟁시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1.19
19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국가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고도화 대토론회'에 참여한 박상욱 과학기술수석비서관이 발표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donga.com "과학기술 분야 기술사업화 전문회사를 육성해 경쟁을 시켜 벌어들인 돈이 자본화되고 다시 스타트업으로 들어가는 선순환을 만들겠습니다 ... ...
2040년 더 강해진다…"열대야 몰고온 한반도 바다 고수온, 내후년 끝날듯"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2.5배다. 한국 연안 해수면은 지난 30년간 연평균 2.97mm씩 상승했다. 전 세계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김 교수는 "남극 대륙 빙하가 녹은 것뿐 아니라 고수온 현상으로 열팽창하며 해수면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적도 지역에서 뜨겁게 달궈진 바닷물이 동해로 들어오며 황해, ... ...
인간이 커다란 뇌를 감당하는 법…"영장류와는 다른 도파민 신경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18배, 선조체는 7배 크다는 점도 확인했다. 도파민 신경세포의 수는 다른 영장류의 약
2배
에 불과했다. 인간의 도파민 신경세포는 멀리 뻗어 나가 부지런히 시냅스를 형성해나가야 한다는 의미다. 시냅스는 한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지점이다. 연구팀은 산화 ... ...
심장을 다시 뛰게 하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1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심장 대신 피를 순환시킨다 의식을 잃은 사람을 발견했을 때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응급조치는 바로 심폐소생술입니다.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폐가 정지하거나 호흡이 멎었을 때 가슴을 반복적으로 눌러 피가 순환될 수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피는 우리 몸 구석구석을 다니 ... ...
마라톤 완주 도전하는 해변 달리던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지난 9월 2024 금산인삼축제 마라톤을 참여한 KAIST 황보제민 교수(앞줄 오른쪽 두 번째) 연구팀 단체사진. KAIST 제공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가 사족보행 로봇 최초로 마라톤 풀코스 완주에 도전한다. 모래사장 같은 변형하는 지형에서 민첩한 주행능력을 보인 라이보는 이번 ... ...
유전자 교정으로 '달달해진' 토마토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토마토 당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토마토의 당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 교정법이 개발됐다. 토마토의 크기를 키우는 유전자 교정 기술은 있었지만 단맛을 내는 방법은 없었다. 크기와 맛을 모두 잡은 토마토를 만드는 과학자들의 숙제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황산 ... ...
견과류 껍질로 친환경 선박 연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설비 운전을 통해 바이오중유 생산 성능을 검증했다. 그 결과 기존 압착 공정 대비
2배
이상 향상된 40%의 바이오중유 생산 수율을 기록했다. 생산된 바이오중유의 황 함량은 90ppm(백만분율)으로, 국제해사기구(IMO)의 황산화물 배출 규제 기준을 충족해 선박 연료로의 활용 가능성도 입증됐다. 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
2024.11.13
미국 럿거스대의 결정학자 헬렌 버먼은 1971년 문을 연 단백질정보은행(PDB)의 공동설립자로 1999년부터 15년 동안 소장으로 있으면서 오늘날의 PDB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럿거스대 제공 매년 노벨과학상이 발표되면 필자는 노벨재단 사이트에서 해설을 다운로드받아 시간 날 때 읽어보곤 했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