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스페셜
"
전기
"(으)로 총 1,314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기립 완료 "날씨 변수 없다"…21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시작했다. 그 결과 센서가 정상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센서 교체 이후에 발사체 내부
전기
부품을 모두 재점검한 과정에서도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17일 오후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발사일을 결정했다. 다음 주 기상 상황이 유동적이고 예비일이 23일까지임을 ... ...
누리호 보완 마치고 발사대로 이송 후 기립 작업...21일 날씨 또 변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시작했다. 그 결과 센서가 정상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센서 교체 이후에 발사체 내부
전기
부품을 모두 재점검한 과정에서도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17일 오후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발사일을 결정했다. 다음 주 기상 상황이 유동적이고 예비일이 23일까지임을 ... ...
감전된 새들이 산불을 일으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 기반 시설의 설치 방식을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전기
회사들이 전선의 절연에 더욱 신경을 쓰고 전선에 철망이나 가시 같은 구조물을 만들어 새들이 앉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스 연구원은 “비용이 많이 들지만 대형 조류가 변압기에 더 ... ...
누리호 21일 다시 발사 도전… 항우연 "문제 부품만 교체해 이상 없음 확인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시작했다. 그 결과 센서가 정상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센서 교체 이후에 발사체 내부
전기
부품을 모두 재점검한 과정에서도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이날 오후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발사일을 결정했다. 다음 주 기상 상황이 유동적이고 예비일이 23일까지임을 ... ...
[일문일답] 누리호 점검 시작 "오늘 점검 끝나면 예비발사일 전 준비 가능 여부 알릴 수 있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부품이나
전기
장치는 문제 없었는지 기립한 이후
전기
엄빌리칼을 가장 먼저 연결하고
전기
부품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확인했다. 점검 과정에서 발사체 내부 모든 전자장치를 점검한다. 다른 장치는 다 이상 없었고 레벨센서만 특이사항이 있었다. 현재로는 다른 문제는 없다고 판단한다. ... ...
[우주산업 리포트]요즘 국제 우주협력의 다섯 가지 트렌드
2022.06.17
대통령은 2020년 12월 머스크와의 전화 통화에서도 인도네시아 내 우주선 발사대 건설과
전기
차 배터리 협력을 제안한 바 있다. 루나 게이트웨이 개념도. NASA 제공 ※ 동아사이언스는 미국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와 해외 우주산업 동향과 우주 분야의 주요 이슈를 매주 소개하는 코너를 ... ...
누리호 발사 연기 원인 규명 착수...23일까지 발사 어려울 수도
2022.06.16
부품이나
전기
장치는 문제 없었는지 기립한 이후
전기
엄빌리칼을 가장 먼저 연결하고
전기
부품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확인했다. 점검 과정에서 발사체 내부 모든 전자장치를 점검한다. 다른 장치는 다 이상 없었고 레벨센서만 특이사항이 있었다. 현재로는 다른 문제는 없다고 판단한다. ... ...
[일문일답] 누리호 2차 발사 잠정 연기 "기체 열어봐야 향후 일정 알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6.15
있을 수도 있다. 지금은 산화제를 넣은 상황은 아니며 현재로선 센서 자체가 문제인지
전기
적 문제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값을 믿을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다. Q 센서 이상은 언제 발견됐나 이날 오후 2시 5분에 이상이 확인됐다. 현장에 가지 않고 원인이 어떤게 될 수 있는지 내부적으로 검토를 ... ...
"온실가스 안 줄이면 금세기말 극한 강수량 최대 78% 증가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의미다. 권역별로 보면 100년 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이 50% 이상인 권역의 수가 21세기
전기
2개, 중기 3개, 후반기 1개로 분석됐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70% 이상 증가했던 한강 동해 권역과 낙동강 동해 권역은 21세기 후반기에 각각 약 39%와 19%로 증가폭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박광석 ... ...
안개와 이슬에서
전기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실외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김 교수는 “강수 환경에서 발
전기
의 에너지 수확 능력을 검증했을 뿐 아니라 빗방울 산성도 경보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안개나 이슬처럼 주변에서 쉽게 보이는 환경에 맞게 설계하면 환경 모니터링이 가능한 센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