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용어"(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3) 정보 교환과 그룹지도 활발과학동아 l1992년 04호
- 리듬강좌와 미디, 시퀸서플러스골드 케이크워크 등 프로그램을 가르쳐 주고 미디 용어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사용법에 대해서도 친절하게 가르쳐 준다. 미디학원도 활성화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이지멀티 미디어아카데미(Easy Multimedia Acadamy)는 이지멀티미디어에서 운영하는 부설학원으로 20대 ...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2월호에서 우리는 천구를 이해하기 위해 여러가지 용어의 개념을 익혔다. 관측자를 중심으로 정의되는 지평선과 천정, 방위각과 고도를 쓰는 지평좌표계, 지구를 중심으로 정의되는 천구의 두극과 적도, 황도를 기반으로 정의되는 적도좌표계 등이 학습한 주요 ... ...
-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성질을 좌우한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흔히 경험하는 에너지변환의 대부분은 연소라는 용어로 설명될 수 있다.연소과정을 통해 연료에 들어있는 원소들이 화학적으로 산소와 반응, 산화물들을 만들고 그 부산물로 열을 발생시키는데 이 열은 결국 반응물질보다 생성물의 질량이 약간 줄어드는 것에 ...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정의될 수도 있음을 알았다. 앞에서 정의된 용어가 지평선과 천정이었고 뒤에서 정의된 용어가 천구의 두 극과 적도였다. 문제는 이 두가지 정의를 어떻게 합하느냐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구위 여러 지점에 위치한 관측자의 입장을 중심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관측자의 위도는 흔히 그리스 문자 ... ...
-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窓)과학동아 l1992년 03호
- 누르면 바로 시작할 수 있으니 얼마나 신나는 일인가.더군다나 이해하기 힘든 전문용어를 일일이 외우지 않아도 그저 그림만 보면 무엇이 어떻게 될지 알 수 있게 되어 이제 컴퓨터는 더이상 번거로운 기계가 아니라 재미있는 친구일 수도 있게 되었다. 컴퓨터를 처음 배우는 어린이들이 다른 일은 ... ...
- 플라스틱 용어 이것만은 알아두자과학동아 l1992년 03호
- 1909년 플라스틱이 처음 합성된 이래 수많은 플라스틱 재료와 제품이 쏟아져 나왔다. 이들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실생활에 쓰이는 제품들과 연관시켜 살펴보면…고분자(polymer)분자량이 대단히 큰(1만 이상) 화합물. 단백질 녹말 섬유소(셀룰로오스) 고무 등 천연 고분자화합물 ...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유실됐다. 실제로 신안 앞바다에서 인양한 배조각들은 전체의 40% 남짓에 불과하다. 전문용어로 말하면 회수율이 40% 인데, 이 정도면 원형을 복원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은 없다고 한다. 비록 선실과 갑판은 없어졌지만 핵심부분인 용골 격벽 등이 거의 완벽하게 회수돼 있는 상태다.신안 앞바다에서 ... ...
- 수학적 발견은 우연인가, 필연인가과학동아 l1992년 03호
- 한 사람을 공통적으로 알고있을 확률이 얼마일까?"하는 것이다. '아는 사람'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기가 힘들다는 점 외에도 정확한 확률을 계산해내는 것 자체도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세상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그렇게 넓은 세계는 아니라고 한다. 다음과 같은 ... ...
- 오진, 불가항력인가?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이라는 단어보다는 '부정확한 진단'(inaccurate diagnosis) 또는 '적합하지 않은 진단'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지적하고 있다.이같은 의학계의 지적은 같은 질병이라 할지라도 모든 사람의 임상증상이 똑같을 수만은 없고 병세 또한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라는데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즉 ...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과학동아 l1992년 02호
- 다시 한 번 머리속에 새겨야 한다.지평선과 천정천구를 이해하려면 우선 몇가지 천문학 용어를 반드시 익혀야 한다. 먼저 지평선과 천정에 관해 알아보자. 천구가 땅과 만난 선을 우리는 지평선이라고 부른다. 물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지평선과 똑같은 것이다. 천구상에서 관측자의 바로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