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살펴볼 수 있다.이상 10개의 산광성운들은 아마추어의 망원경을 통해 볼 수 있는 여름밤
천체
들이다. 이들을 더 잘 관찰하기 위해 망원경이 대형화됐고 사진으로 남기려 적도의 마운트가 개발 개량돼 왔다. 이들 성운 속에서 별들이 죽으면서 성운으로 되돌아간다. 한여름 밤하늘의 거대하고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000,000,000그램이 된다. 또한 중성자성은 태양의 질량을 직경 약 8마일(13km정도)의 조그마한
천체
로 압축시킬 수 있다.이러한 중성자성은 지난 1969년에 발견된 적도 있다.그러나 중성자는 독립된 입자가 아니다. 중성자는 세개의 쿼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성자들은 더욱 서로 가깝게 압축될 수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이 물질들은 어쩌면 토성 주위를 돌던 작은 위성이 지구 크기의
천체
와 충돌을 일으켜서 부서져 생긴 것으로 믿고 있다. 15개의 위성들 천왕성에는 다섯개의 위성이 있는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1986년 보이저 2호가 10개의 작은 위성을 새로 발견해 위성 수는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다음 꼭지 망원경활용법(초여름의 구상성단)에서 자세히 다룬다.성단밤하늘에 보이는
천체
들 중에는 간혹 구름처럼 흐릿하게 보이는 대상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성운(nobula)과 성단(cluster)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 두가지는 겉보기에는 비슷해도 실제에 있어서는 매우 다른 모습을 하고 있 다. 이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자연철학에서 벗어나 물리학 화학 생물학등으로 구별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뉴턴의
천체
물리학이 완성되던 과학혁명을 거치면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스러운 운동'으로 탄생한 역학은 뉴턴의 만유인력개념과 운동에 관한 3법칙의 정립으로 비로소 근대역학으로 전환된다.뉴턴이 근대역학에서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만약 태양보다 훨씬 무거운 공과 같은
천체
가 지구와 먼 은하 사이에 있고 이 세개의
천체
가 완전한 기하학적 대칭성을 이룬다면 은하의 모습이 어떻게 보일 것인가를 예측해 보았다. 그는 먼 은하에서 오는 빛은 중간에 위치한
천체
(은하나 은하들의 집단)의 중력 때문에(실험실 속의 렌즈실험처럼)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다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만들었다. 혼을 불어 넣는다이때부터 김씨는 본격적으로
천체
관측도 시작했다. 이전에는 단순히 망원경을 판매하는 장사치였지만, 이때부터는 아마추어천문가로서 본격 입문을 한 셈. 4, 5년전부터는 고객이자 제자들인 아마추어 천문가들을 따라 도시락을 싸들고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배제할 수 없다. 이런 별에서 일어나는 일은 비슷한, 그러나 나아가 우리 지구와 다른
천체
를 찾아내 그 곳을 여행함으로써 우리의 시간 여행에 대한 욕구를 어느 정도 만족시킬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런 여행도 가까운 장래에 가능할 것 같지는 않다. 또한 이런 별로의 여행이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백년 가까이 천문학자들을 난처하게 만들어 왔던 문제를 온타리오에 있는 워털루대학의
천체
물리학자 폴 웨슨은 해결한 것일까?지난 1826년에 독일의 천문학자인 하인리히 올버스는 만약 하늘에 무한한 수의 별들이 존재한다면 어느 방향으로 쳐다보더라도 별 하나쯤은 볼 수 있어야 하지 않느냐는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산책할 때 그의 말을 당신 자신도 중얼거리게 될 것이다.파섹(parsec)우주공간에서
천체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가장 큰 단위. 1파섹은 3.26광년으로 1AU(천문단위,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의 20만 6천배이며 3.09×${10}^{13}$km의 길이다. 파섹의 물리학적인 정의는 연주시차(年周視差)가 1"(초)가 되는 거리를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