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체"(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과학동아 l1991년 01호
- 폭발잔해인 게성운(M1)이 있다. 이는 초보자에게는 힘든 관측대상이지만 10㎝ 이상의 천체망원경이 있으면 한번 시도해보기 바란다. 또한 이 별자리는 천구의 황도가 통과하는 '황도12궁'의 하나로 천문학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황소좌 근처에서는 행성을 발견할 수도 있는데, 1월에는 ...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과학동아 l1991년 01호
- 예술의 창조성에 관해 리브는 '말리코른'에서 많이 언급하고 있다. 그는 천체물리학자이지만 시와 예술을 그의 우주관에 연결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가 부르고뉴지방의 오솔길을 거닐때 흔히 마주치는 꽃가루와 나비 시냇물을 보면서 그는 자신의 우주관을 다듬는다. 리브는 때때로 머리에 ...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과학동아 l1991년 01호
- 중력 작용에 의해서 미행성(微行星)이라 부르는 크기가 수㎞에서 수백㎞의 작은 천체를 이룬다. 이 미행성들은 서로 충돌하고 결합해 몇개의 원시행성을 형성한다. 이 원시 행성들은 질량이 어느 정도 크므로 그 자체의 중력으로 주변에 있는 작은 질량의 물체를 끌어 모은다. 이렇게 자라나는 ...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과학동아 l1991년 01호
- 만들어냈을 것이라는 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수성에서 우리는 수십억년 전 격렬했던 소천체와의 충돌 때문에 생긴 각종의 크레이터 분지 절벽 용암이 흐른 자국 등 수많은 표면 작용의 흔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수성은 지질작용도 일어나지 않고, 충돌도 일어나지 않고, 대기도 없고, ...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과학동아 l1991년 01호
- 준비로 당장 시도해보자.다음에는 보다 전문적인, 망원경을 이용한 피지백 방식에 의한 천체사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서울대 천문대 24인치 반사망원경 가동-관측 천문학 발전에 기여할 듯서울대 천문대에 전자동 24인치 반사망원경이 새로 설치됐다. 그동안 서울대에는 16인치 반사망원경 ...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과학동아 l1990년 12호
- 유도하는데에도 큰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천신만고 끝에 얼마 전에 쏴 올린 천체망원경의 이름은 허블망원경이다. 이 명칭은 윌슨천문대의 망원경을 통해 은하 밖의 별구름을 연구했던 저명한 천문가 허블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는 멀리 떨어진 별일수록 더 빨리 멀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즉 ...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과학동아 l1990년 12호
- 미시세계를 헤매던 입자물리학자들은 우주 생성의 비밀을 풀기위해 거시세계를 헤매던 천체물리학자들과 만나게 된다. 이때부터 가속기는 극과 극의 세계를 통합시키는 수단이 되고 있다.세계의 유명가속기들가속기는 가속시키는 입자가 전자인가 아니면 양성자인가에 따라 구별하고, 또한 어떠한 ... ...
-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과학동아 l1990년 11호
- 자연과학의 모든 분야, 즉 소립자물리학 원자핵. 고체물리학 화학 분자생물학 천체물리학 우주론 등에서 실천적 기반을 더욱 강화해 가고 있는 것과는 다른 측면에서 이루어졌다.양자이론이 다방면에서의 실천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기술하는 객관적 실재가 불완전한 것이라면, 보다 엄밀한 ... ...
- 사라진 태양 중성미자는 어디에?과학동아 l1990년 10호
- 기록된다 할지라도 지구에 도달하는 고(高)에너지나 저(低)에너지 중성미자의 실측치가 천체물리학자들이 계산한 이론치에 훨씬 못 미친다는 점을 연구팀은 강조하고 있다.질량을 가진 전자중성미자한편 중성미자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바컬박사와 노벨상 수상자인 ... ...
- 생태계의 사고(史庫), 자연사박물관과학동아 l1990년 10호
- 5개의 미술관으로 구성돼 있으며, 연구기관으로서 방사선생물연구소 해양학연구소 천체물리학연구소 등이 있다. 이 종합박물관은 미국의 국회의사당과 백악관 사이에 있는 몰공원에 자리 잡아 미국의 위력을 나타내는 상징으로서 세계 최대규모를 자랑한다. 그 속의 한 박물관으로서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