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59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연구팀, ‘자원 천국’ 그린란드서 납-아연 묻힌 5곳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게재됐다. 담당 연구를 주도한 극지연 아민 베이란반드 연수연구원은 “그린란드 북
쪽
해안지역 일대는 유독 눈과 얼음이 덮여 있지 않은 곳이 많아 인공위성 조사로도 알 수 있는 정보가 많다”면서 “인공위성 분광분석 결과 새롭게 발견한 5개 지역 모두 납과 아연의 분포가 매우 높게 나타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연구단의 과학자들이 실험설비만은 회수하지 말아 달라고 간청하는 이유다. 물론 IBS
쪽
도 이런 사정을 모르는 건 아니지만 법이 회수하게 돼 있으니 따라야 한다는 입장일 것이다. 과학자들의 편의를 봐줬다가 무슨 불똥이 튈지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대안을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가득 채우면 물이 사라지는 마법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21
한
쪽
을 액체에 담그고 관을 액체로 가득 채워요. 그리고 반대
쪽
을 액체를 담고 싶은 낮은
쪽
에 두면 액체가 관을 따라 저절로 흐른답니다. SouthHamsian(W) 제공 사이펀의 원리는 수족관의 물을 갈 때, 주유소에서 기름을 옮길 때 이용돼요. 그뿐만 아니라 변기에서 냄새가 올라오지 않게 하는 데도 ... ...
촛불집회 때 광화문 대기 오염물질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양을 조사했다. 가운데 그래프에는 도로에서 떨어진 거리에 다른 블랙카본 농도를, 오른
쪽
그래프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연구진은 교통량이 비슷해도 계절에 따라 대기질이 달라진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2015년 6월과 12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4일씩 ... ...
스마트폰 '풀스크린' 시대…'노치' 다음은 '홀' 디자인
연합뉴스
l
2018.11.20
화웨이도 홀 디스플레이에 대한 특허를 받은 상태다. 외신 등에 따르면 애플은 전면 한
쪽
에 구멍이 있는 스마트폰 디자인 특허를 이달 미국특허상표청(USPTO)에서 발급받았다. 화웨이 역시 올해 전면 디스플레이 상단 중간에 작은 구멍이 있는 디자인 특허를 받았다. 홀 디자인 외 다른 방법으로 ... ...
빛 마음대로 조절하는 ‘초박형 렌즈’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 사진 윤신영 기자 서울대 공대 301동 연구실. 홍종영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연구원이 한
쪽
구석의 의자를 가리키며 앉으라고 했다. 의자 앞에는 말간 유리 하나가 앞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채 놓여 있었다. 유리 너머로 연구실 비품이 보였다. “고개를 앞뒤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눈앞에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만든 장치로, 사람 한 명을 통과시키는 회전문과 같은 원리다. 앞뒤로 장벽이 있어 한
쪽
을 낮춰 전자가 양자점으로 들어온 다음, 다시 반대편 장벽을 낮춰 빠져나가게 조절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주파수를 명확히 알고 있는 전원을 단일전자펌프에 입력하면, 이 주파수와 동기화된 전자가 ... ...
길이 1cm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발자국 화석 진주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있고, 엉덩이까지의 높이가 약 4.5㎝인 어린 랩터가 활보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어느
쪽
이든 작은 발자국 화석이 남은 것은 희귀한 일로 평가된다. 김경수 소장은 “발자국 길이가 1인 소형 발자국 화석은 보존되기도 어렵지만 발견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대단히 드물다”고 ... ...
2020년 화성 가는 탐사로봇 최종 종착지는 '옥시아 플라눔'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떨어져 있는 지역으로, 산악지대와 저지대가 만나는 경계에 위치한다. 과거 화성 북
쪽
에 위치했던 평지로 물이 흘러 들어가는 길목이다. 전문가들이 이번 착륙지 선정에서 가장 크게 고려한 사항은 ‘로버가 얼마나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느냐’다. 현재까지 시도했던 임무의 절반 이상이 실패로 ... ...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새로운 별 생성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은하면 전체에 대한 파셴알파 관측 자료를 세계 최초로 얻는데 성공했다. 분석 결과 북
쪽
하늘에 위치한 세페우스 영역에서 기존에 알려진 전리수소 영역의 목록보다 약 1.5배 정도 많은 전리수소 영역 60여 개를 발견했다. 천문연은 향후 연구대상을 전체 은하면으로 확장해 은하 내 별 생성과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