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65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성철 KAIST 총장 직무정지 일단 ‘유보’(종합)
2018.12.14
모든 이사가 “시시비비가 가려지기 전에 직무정지를 표결할 수 없다”며 유보
쪽
에 표를 던진 셈이다. 신 총장은 유보 결정이 내려진 직후 “본의 아니게 KAIST와 많은 분들에게 심려 끼쳐드려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존경하는 이사님들 정부 관계자 여러분들 결정 감사드린다. 더욱 신중하고 ... ...
오늘밤 유성우 쇼가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4
없이도 육안으로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관찰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14일밤 9시 16분 남동
쪽
하늘에서 절정을 이룰 전망이다. 유성우는 혜성이나 소행성들의 그 잔해가 지구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혜성이 태양 가까이 지나가면서 태양풍이나 중력 의해 여러 파편으로 쪼개진다. 지구가 ... ...
ISS 우주인 8시간 유영…소유스 캡슐 구멍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3
MS-09 캡슐을 발사한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시험도중 생긴 구멍이라는
쪽
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 발사 전에 발생한 손상으로 드러날 경우 발사 관계자들이 이를 인지하고 있었는지 여부를 추가 조사해야 한다. ... ...
도시 개구리가 암컷을 더 잘 유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암컷을 더 잘 유혹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한
쪽
에는 도시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다른 한
쪽
에는 숲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틀고 암컷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관찰했다. 40마리의 암컷 개구리 중 30마리가 도심 개구리의 울음소리 방향으로 이동했다. 암컷 넷 중 셋은 도시 개구리를 따르기로 정한 ... ...
다양한 분야 연구자 한자리에… “머리 맞대니 ‘답’이 보이네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기술 조사 내용을 서로 논의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이전까지 기초과학
쪽
에는 연구비 외에 연구자들이 교류하는 데 쓸 수 있는 ‘소프트머니’(활동비)가 사실상 전혀 없었습니다. 하지만 융합클러스터 덕분에 같은 주제에 관심 있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 ...
[여기에 과학] 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 '태양의 길'에 빠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것을 황도광이라 합니다. 태양에 가까울수록 밝으며, 일출 전 동
쪽
하늘이나 일몰 전 서
쪽
하늘에서 잘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7119스페인령 테네리페섬의 관측소에서 연구하던 브라이언 메이.-임페리얼칼리지런던 제공 메이는 스페인령에 속하는 아프리카 테네리페섬의 해발 약 2567m의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광집게가 가능하다는 것은 그만큼 쓰임새가 넓어졌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형광현미경 한
쪽
에 레이저 모듈만 달면 다른 고정 장치 없이도 작은 시료를 원하는 시간 동안 자세히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자체 개발한 광집게 장치. 이용구 제공 애슈킨 연구원은 이를 이용해 ... ...
[별별이야기]크리스마스 혜성을 만나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태양을 공전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혜성과 지구가 궤도의 같은
쪽
에 있어 최근접(오른
쪽
)하게 된다.astro.vanbutenen.nl 제공 무엇을 봐야 할까? 혜성 관측의 백미는 뭐니뭐니 해도 꼬리(특히 푸른색의 이온꼬리)입니다. 흐릿한 공모양의 코마와 꼬리가 혜성의 대표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혜성의 ... ...
한해 70만명 죽는데…항생제 발굴 연구 133건 출구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연구보다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물질 연구가 비교적 다루기 쉽다”며 “미생물
쪽
에 종사하는 많은 연구자가 항생 물질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만큼 항생제로 개발될 수 있는 후보물질을 많이 확보해가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국내에서 발굴한 후보 물질은 적극 ... ...
“성간천체 ‘오무아무아’ 외계 인공물 아닐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안으로 관통해 들어온 성간 천체로 2017년 10월 처음 발견됐다. 긴
쪽
길이가 수백 m, 짧은
쪽
길이가 약 수십~100m 정도인 길고 뾰족한 외형과 태양을 중심으로 포물선 모양을 그리며 움직이는 비행경로(쌍곡선 궤도) 때문에 SF 작가 아서 클라크의 장편소설 ‘라마와의 랑데뷰’ 속 우주선과 비교되며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