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3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중계] 누리호 오후 4시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③백두산 분화 감시하는 초소형위성 '스텝큐브-2'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누리호 타고 우주로]①한반도 미세먼지 관측 도전하는 초소형위성 '미먼'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5)국방드론서 쌓은 데이터 실시간 처리기술 ... ...
16종 물질 분별 가능한 국내
최초
복합방사선 보안검색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항공화물용 복합방사선 보안검색기 시작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번에 최대 16종의 물질을 분별하는 항공화물용 복합 방사선 보안검색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는 X선과 중성자를 동시에 활용해 16종의 물질을 ... ...
[누리호 2차 발사]1차 발사와 무엇이 다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임무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남극세종기지에서 발사 약 46분 후 성능검증위성과
최초
로 교신하고, 이후 2시간 동안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지속적으로 교신을 이어간다. 발사 4시간 뒤에는 남극세종기지에서 자세 안정화 여부를 확인한다. 발사 일주일 뒤부터는 성능검증위성에서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넓어진 셈이다.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천왕성을 방문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최초
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가 발사된 1957년을 우주 탐사의 원년이라 한다면 우리 인류의 우주 탐사 역사는 반세기를 훌쩍 넘은 지 오래다. 그런데도 지금껏 천왕성에 가까이 간 탐사선은 보이저 2호뿐이다. 1977년 ... ...
별 데이터와 인공지능 합친 점성술은 과학일까
2022.06.18
지금도 점이니 운세니 하는 미신에 관한 관심은 조금도 수그러들지 않은 것 같다. 세계
최초
의 컴퓨터로 불리는 고대 그리스의 안티키테라 장치도 점성술에 쓰였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 것으로 보아 당대의 첨단 기술이 점을 치는 데 쓰이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인가 싶기도 하다. 스마트폰 앱스토어에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연구팀, 혈액 속 암세포 자동 분리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박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제철, 조선, 전자, 중화학 산업 등 국내 주요 산업의
최초
육성방안을 기획해 이들 산업 탄생의 밑그림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산업발전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
누리호 23일까지 발사 가능할까...과거 발사연기 때는 어땠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과정 중 추가로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공존했다. 다행히 오류 수정을 무사히 마치고
최초
발사 예정일 4일 뒤인 8월 23일 발사대로 재이동했다. 나로호는 해외에 통보한 발사 예비일 마지막날(26일)을 하루 앞둔 25일 발사됐다. 그러나 위성덮개 페어링 한쪽이 열리지 않으며 발사에 실패했다. 당시 ... ...
6월 엔지니어상에 전성철·최수영 씨…상반기 여성 엔지니어상에 이형의·조영은·김경희 씨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연구개발에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 부문의 수상자인 최 팀장은 국내
최초
로 라이너가 없는 복합재 극저온 추진제 탱크를 개발했다. 라이너는 탱크의 기밀성 확보와 복합재 적층을 위한 금형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최 팀장은 라이너를 없애 기존 탱크 대비 무게를 23% 줄였다. 위성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com “국내에선 아직 초소형위성이 지상 촬영을 한 사례가 없습니다. 이번에 성공하면
최초
로 영상촬영과 전송까지 성공한 첫 사례가 됩니다.” 이달 7일 대전 유성구 KAIST 항공우주공학관 실험실에서 만난 김태호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연구원(박사과정생)은 국내에서 발사되는 첫 초소형위성 ... ...
전기 10배 잘 통하는 열전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높았다”고 설명했다. 김봉수 교수는 “고분자의 분자량이 열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
로 밝혀냈다”며 “전기전도도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고분자 열전소재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에 지난달 25일 온라인으로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