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33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두 번째 도전, 맨 앞자리엔 '이들'의 꿈도 함께 실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성공적으로 우주궤도에 올리면 우리 손으로 만든 첫 발사체로 쏘아올린
최초
위성,
최초
운영 성공이라는 여러개의 타이틀을 동시에 갖게 된다"며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 초소형위성은 수십 ㎏에서 작게는 수 ㎏ 크기의 위성이다. '큐브위성'으로도 불리는데 유닛(unit)의 앞글자인 ‘U’를 ... ...
'그린수소' 생산하는 인공잎 성능·내구성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촉매 탈착을 동시에 억제하며 다양한 광전극에 적용 가능한 저가 하이드로젤 보호기술을
최초
로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나노그물망 형태 하이드로젤 보호막이 광전극 수소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보호막 최적화를 통해 전극 수명을 연장시켰다”고 말했다. 이번 ... ...
[의학바이오게시판]류기진 고려대안암병원 교수 대한생식의학회 최우수구연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6.08
시간제한섭식을 할 경우 여러 다낭성난소증후군 증상이 호전돼 정상치로 돌아오는 것을
최초
로 확인한 공로로 수상했다. ■한국소아암재단은 가수 이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사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아암, 백혈병, 희귀난치질환 환아의 치료비 지원을 ... ...
“코로나19 완치자 많아도 실내 마스크 착용 유지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6.07
확립된 연구결과는 없다고 밝혔다. 박영준 역학조사팀장은 “현재까지 알려진 것은 주로
최초
감염 이후 90일이 경과한 시점에 재감염이 가능하다는 것과 변이 유형이 다를 경우 재감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라며 아직 확립된 연구결과는 없다고 밝혔다. 임숙영 상황총괄단장은 ... ...
日 "하야부사2가 소행성에서 가져온 흙에서 아미노산 20종 이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7
예정 시기는 2031년 7월로 예상된다. 하야부사2가 두 번째 소행성을 무사히 탐사하면 세계
최초
로 복수의 소천체 주위를 돈 탐사선이 된다. 소해성 류구에 착륙하는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상상도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제공 ... ...
빌 게이츠 "다음 팬데믹 막으려면 세계적 의료조직 만들어야"
연합뉴스
l
2022.06.07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을 꼽았다. 그는 "미래의 아웃브레이크에서는
최초
확진 이후
최초
백신 후보가 나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몇 주 혹은 며칠 단위로 측정하게 될 것이다. mRNA가 이를 가능케 할 기술로 자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전 세계의 백신은 배분 방법을 정해 가장 비싼 값을 ... ...
한국 첫 우주탐사선 '다누리' 기획부터 발사까지 15년 "이제 준비는 끝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제공. 이상률 항우연 원장은 “다누리 발사는 실제로 미국 NASA와 하드웨어 관련 협력하는
최초
의 사례가 될 것”이라며 “이번 발사를 계기로 서로 신뢰가 쌓이면 도전적인 미션을 함께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며 우주 탐사를 위한 첫 걸음, 심우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WHO “원숭이두창 감염자 일주일 전보다 3배 늘어"…27개국서 780건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년 원숭이 연구자들이 처음 발견했다. 이후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인간 감염 사례가
최초
로 확인됐다. 아프리카 중부와 서부에서 주로 확진자가 발견돼 왔다. 사람이 걸리는 천연두와 비슷하지만 증상이 더 약하다. 증상은 독감과 비슷하며 이후 림프샘이 붓고 얼굴을 비롯한 몸에 발진이 ... ...
코로나19 변이 계속 출현하는데 새 백신 빨리 안 나오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세월 동안 연구된 덕분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1930년대 처음으로 분리돼 1940년대에
최초
의 백신이 승인됐다. 이후에도 백신 개발사와 관련 기관이 수십 년간 독감 예방접종 전략을 수립하고 수정하길 거듭했다. 독감 유행 예측이 지금까지도 종종 빗나가는 경우가 있지만 코로나19 ... ...
나의 기억저장 세포는 어디에 있을까…세포 분포 뇌지도 제작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모두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억저장 세포의 매핑을
최초
로 실현하고 단일 기억이 다양한 뇌 부위 세포들에 흩어져 저장됨을 증명한 데 의의가 있다”며 “이번에 밝혀진 기억저장 세포의 뇌 지도는 각 뇌 부위의 세포와 세포 간 상호작용이 기억에 있어 각각 어떤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