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돌아온 말썽꾸러기 ‘지지리 마란드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하니 정말 대단한 식물이다.지지리 마란드러, 숙제 끝~.“우히히, 올해에도 삼촌 덕분에 여름방학 숙제 끝~!”지지리 마란드러의 여름방학 숙제인 식물 채집을 모두 끝낸 썰렁홈즈는 생각했다.‘크하하하~, 고생 좀 하겠지? 가져갈 수 있으면 가져가라, 요 녀석.’식물을 그대로 스케치북에 담아 너무 ... ...
- 튼튼한 다리의 비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마찬가지로 땅을 밀어내면서 높이, 멀리 솟구칠 수 있다는 거예요. 연구팀은 우리가 꼬리 덕분에 높이 멀리까지 뛸 때에도 그다지 힘이 들지 않는다고 설명했답니다. 대단하죠?각선미의 여왕, 기린아~. 가느다란 다리에 비해 몸집이 크구나?저는 키가 5m쯤 되고 몸무게는 1톤(1000kg)이 넘어요. 하지만 ...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쭉쭉피는 몸 전체를 돌고 있어. 피가 몸 구석구석을 흐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심장 덕분이야. 강한 근육으로 이루어진 심장은 1분에 60~70번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거든. 이렇게 심장이 펌프질을 하면서 1분에 5L나 되는 피를 온몸으로 보낸다는 사실! 살아 있는 동안 심장은 한시도 쉬지 않고 움직여. 7 ... ...
- 잡힐 듯 말 듯 신기한 스케치북 속 3D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속 주인공들과 함께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들도록 한 기법이지요. 컴퓨터 그래픽의 발전 덕분에 우리는 쥐라기 시대에서 공룡과 함께 있을 수 있고 우주에서 우주인들과 둥둥 떠다니는 체험을 할 수도 있어요. 그런데 컴퓨터 기술 없이 펜 하나로 스케치북의 인물들이 튀어나올 것 같은 그림이 ... ...
- 달 연구 전문가 ‘지구가 더조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통과할 때 온도가 3000℃일세. 행운을 비네.”다시 가져다 놓아라~!“하하하, 자네 덕분에 1969년에 인류가 달에 진짜로 갔다 왔다는 사실을 확인했어.”“네? 그게 무슨 말인가요?”“아까 자네가 달에서 본 레이저반사판은 지구와 달의 거리를 측정하려고 그 때 갖다놓았거든.”“아…, 혹시 이거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사용한단다. 만년필 펜촉 사이의 좁은 틈으로 잉크가 이동하는 것은 중력 보다는 모세관 덕분이라는 거지. 또 잉크가 종이로 이동할 때도 모세관을 타고 이동한다고 해. 종이 역시 식물의 셀룰로오스가 복잡하게 얽힌 모세관의 모임과 같단다. 그래서! 연필이나 볼펜보다는 만년필로 공부를 하는 게 ... ...
- [화보] 지식을 담은 꿈의 공간, 도서관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책이 큰 원을 그리며 사방을 감싸고 있다. 자연스럽게 사람의 시선도 원을 따라 돈다. 덕분에 수많은 책이 한눈에 들어온다. 작은 원은 하나의 구획을 만들어 사람들이 아늑한 공간에서 책을 읽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웅장함이 돋보인다아치와 돔은 시선을 내부 공간으로 집중시켜 준다.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이 3개의 공리로 구체적인 힘이 작용하는 수많은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덕분에 달이나 행성의 궤적, 또는 발사된 대포알의 운동을 설명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정량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이해할 수 있다는 믿음을 한 번에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뉴턴은 공리체계를 사용하는 데 ... ...
- [참여]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올해로 2번째 이 대회에 참가했다는 이민지 학생은 “평소에 즐겨보는 수학동아 덕분에 문제를 막힘없이 해결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민준규 학생은 “최선을 다해 열심히 했더니 저절로 상이 따라왔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스튜디오 지브리는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까지 동시에 여러 감각을 자극한다. 덕분에 관람객은 전시 공간에서 마치 그 장면 속에 들어간 것처럼 느낄 수 있다.토토로 뒤편의 빗줄기는 끊임없이 아래로 흐르는 것 같지만, 사실은 같은 영상을 반복 재생한 것이다. 바닥의 낡은 느낌은 별도의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