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마침내 상업적인 가치가 있는 1칸델라 밝기의 파란색 LED를 개발했다. 이와 같은 업적
덕분
에 세 사람은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됐다. 이들의 업적은 단순히 학술적인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파란색 LED가 실용화되면서 빛의 3원색이 완성돼 LED를 조명기기로 쓸 수 있게 됐고, 디스플레이의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이디어는 어떻게 나오게 됐을까. 오 연구원은 “이곳 디자인센터의 분위기가 자유로운
덕분
”이라고 말했다.“언제든 누구든 아이디어를 말할 수 있습니다. 어느 날 회의를 하다가 ‘복사가 어떤 때는 잘 되고 어떤 때는 잘 안 되는데 그걸 한번 응용해 보면 어떨까’라는 아이디어가 나왔어요. 그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없었다. 장비가 작아진
덕분
에 살아있는 동물의 뇌에 직접 미세전극을 삽입할 수 있었다.
덕분
에 해마에서 장소세포를 찾아낼 수 있었다. 본인의 연구에 집중하면서도 최신 기술 경향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장소세포 논문을 3쪽 분량으로 ‘브레인 리서치’에 투고했는데 거절당했다. 실험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 논문은 초분해능 형광현미경 논문 중에 가장 인용수가 많다. 베치그의 연구는 머너
덕분
머너는 세계 최초로 ‘분자 하나’를 탐지한 과학자다. 그는 IBM에서 연구원으로 지내던 1989년, 단일 분자 검출에 성공했다. 1년 후 프랑스에서 형광을 이용하면 더 쉽게 고감도로 단일 분자 검출이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조종할 수 있는 행글라이더 등 직접 만지고 탈 수 있는 전시물이 인기다.이런 전략
덕분
일까. 루체리움은 지난해 10월 15일 임시 개관부터 올해 9월까지 누적 관람객 수 33만7457명을 달성했다. 하루 평균 약 1000명에 이르는 시민이 방문해 과학문화를 체험한 셈이다. 개관 1주년을 맞아 최은철 관장은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마리나 쏟아져 들어오면서 멸종에 직면한다. 다행히 사명감으로 재래닭을 지켜온 사람들
덕분
에 돼지보다는 명맥을 유지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천연기념물 265호로 지정된 ‘연산오계’다. 연산오계는 조선시대부터 사육된 기록이 남아 있는 재래닭이다. 1991년이 돼서야 체계적인 재래닭 복원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주 깨끗해졌답니다. 예전과 달리 수업시간에 조는 시간도 줄고 피로감도 덜 느껴요.
덕분
에 시험성적은 평균점수가 5점이나 올랐지요. 물론 이 모든 변화가 오로지 물 때문이라고 말할 순 없어요. 하지만 예전과 지금의 생활습관에서 달라진 점은 물 먹는 양이 늘어났다는 거예요. 결과·내장지방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심지어 항암제가 방선균에서 나 올 가능성도 있다. 신종헌터가 발 견한 '암 잡는 방선균'
덕분
이다. 2006년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 구소의 빌리엄 페니컬 교수는 남태평양 팔라우에서 1000m 깊 이 심해에 사는 미생물 '살리니 스포라 트로피카'를 발견했다. 팔라우에만 사는 것으로 알려진 이 균은 강력한 ... ...
[과학뉴스] ‘글루텐 프리’만으로는 부족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밀가루에 함유된 단백질로, 밀가루 제품에 쫄깃한 탄력을 준다.
덕분
에 맛있는 국수를 먹을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의심받고 있다. 소장에서 면역반응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셀리악병이 대표적 예다. 이 병은 글루텐이 소장 벽에 달라붙어 소화를 방해해서 생기기 때문에,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역시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개념이고 측정은 이뤄진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나
덕분
에 처음으로 그 존재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었다.내가 여기까지 오는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태양권계면은 한 번에 그냥 통과할 수 없다. 그보다 30~40AU 이전에 이미 태양풍의 속도가 크게 떨어지는 순간이 온다.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