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시인은 우유 먹으면 모두 배탈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부르거 교수팀과 영국 런던대 마크 토마스 교수팀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6
일자
에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선사시대 사람들의 유전자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독일, 폴란드, 헝가리, 리투아니아에서 발굴된 약 3800~6000년 전의 인류 8명의 뼈에서 DNA를 추출해 현재 유럽인에게 ... ...
산악지역은 목 마르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작은 입자들이 산악지대의 비구름 생성을 막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3월 9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중국 산시성 후아산의 날씨를 50년간 기록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증기 응결량이 30~50% 감소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후아산은 중국의 대기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1970년에서 2005년까지 평균 ... ...
그린피스 “몬산토 옥수수 유독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국제저널 ‘환경오염과 기술의 저장’ 3월 14
일자
에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몬산토의 유전자변형 옥수수인 MON863을 90일간 먹은 쥐의 간과 신장에서 ‘유독성 증세’가 나타났다.그린피스의 프랑스 지부 대변인은 “제3 연구자의 평가를 거친 보고서를 통해 ... ...
쉬운 문제만 푸는 '똑똑한 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쥐가 인간처럼 ‘메타인지’를 한다는 연구 결과를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6
일자
에 발표했다.시험을 보는 학생은 자신이 어디까지 알고 어디까지 모르는지 알기 때문에 시험성적이 나쁠지 좋을지 대충 짐작할 수 있다. 이런 인지를 ‘메타인지’라고 한다.크리스털 교수팀은 쥐를 상대로 2~3.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모세혈관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2002년 11월 4
일자
에 발표했다. 대장균은 영양물질을 발효시키거나 분해해 창고에 저장하도록 돕는다. 모세혈관이 많아질수록 장 내벽으로 영양분의 흡수가 잘 일어난다.그는 또 2006년 12월 21일 장에 사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 ...
세포만한 초고밀도 메모리 개발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00배 높으면서 크기는 백혈구만한 메모리 회로를 개발했다”고 ‘네이처’온라인판 1월 24
일자
에 발표했다. 칼텍 박사과정 최장욱 씨도 크게 기여한 연구자로 이름을 올렸다.UCLA와 칼텍이 공동 개발한 메모리는 이전의 메모리와 같은 크기에 16만 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전에는 64비트가 ... ...
용암으로 탄소나노튜브 싸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있는 방법을 찾아 국제 화학계 유력지인 ‘안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온라인판 1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에 있는 에트나 화산은 유럽에서 가장 큰 활화산이다.연구팀은 용암이 산화철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산화철은 탄소나노튜브 합성 과정에서 촉매 ... ...
사라진 빛을 나타나게 하는 원자 마술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이들이 사용한 것은 마술의 속임수가 아니라 과학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2월 8
일자
에 게재됐다.원자는 원래 자유롭게 움직이지만 절대온도 0K(영하 273℃)에 가까운 극저온에서는 모든 원자가 마치 고체처럼 뭉쳐 질서정연하게 이동한다. 이런 상태를 ‘보즈-아인슈타인 응축’(Bose-Einstein ... ...
남편 죽으면 바람나는 나비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암컷의 짝짓기가 문란해진다는 사실을 밝혀 영국 생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2월 6
일자
에 발표했다.윌바키아 박테리아가 수컷 새끼로 전염되면 수컷 새끼는 유충이 되기 전에 죽는다. 이 현상이 반복되면 수컷의 수가 더욱 줄어든다. 하지만 이 박테리아가 암컷 새끼로 전염되더라도 암컷 ... ...
'키스'로 스트레스 푸는 떼까마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비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생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 1월 23
일자
에 발표됐다.떼까마귀는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겨울 철새로 이름처럼 나무 위나 벼랑에 ‘떼’를 지어 산다. 많은 개체가 좁은 장소에 모여 살기 때문에 각자가 나뭇가지나 먹잇감을 만족할 만큼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