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들은 아빠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한 붉은사슴 암컷이 암컷새끼보다 수컷새끼를 많이 낳는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12월 1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수컷 붉은사슴 14마리로부터 정액을 채취한 뒤 이를 각각 344마리의 암컷 붉은사슴의 난자와 인공수정했다. 태어난 자식의 성별을 분석한 결과 수컷에서 채취한 정액에 정상 정자가 ... ...
신구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빌리기가 쉽지 않다. 아파트를 분양할 때도 대부분 신구간에 입주할 수 있도록 준공
일자
를 맞추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신구간이 끝난 2월 말경에 육지에서 제주도로 이사 오는 경우엔 집을 구하지 못해 낭패를 겪기 일쑤다.신들의 임무교대 첨단과학기술 시대인 오늘날 신구간 같은 풍속이 ... ...
침이 고통을 덜어준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통증완화 물질을 발견해 오피오르핀으로 명명했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1월 13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쥐에게 통증을 일으키는 포르말린을 주입한 뒤 침에서 추출한 오피오르핀과 마약성 진통제인 모르핀을 각각 주사했다. 체중 1kg당 1mg의 오피오르핀을 투여하자 3mg의 모르핀에 버금가는 ... ...
목소리 바꾼 도시 박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박새가 도시 소음에 적응하기 위해 목소리를 바꿨다고 ‘커런트 바이올로지’ 12월 5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런던, 파리, 암스테르담 등 유럽 도시에 잘 적응한 박새를 연구했다. 도시와 숲에 사는 박새 소리를 비교한 결과 도시 박새의 목소리가 숲의 박새보다 더 높고 빨랐다. 진동수가 높은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백신을 개발하는 일이다.핵산단백질의 꼬리를 잡아라 과학전문지 네이처 2006년 12월 7
일자
에는 조류독감의 꼬리를 잡는 논문이 발표됐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핵산단백질(Nucleoprotein)에 들어있는 꼬리고리(Tail loop)가 증식을 일으키는 핵심이라는 사실이다. 논문을 발표한 미국 라이스대 타오 이지 ... ...
열은 내 몸의 수비수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병균이 침투한 부위의 면역세포를 증가시킨다”고‘네이처 이뮤놀로지’11월 5
일자
에 발표했다.모든 동물은 체내에 병균이 들어오면 열이 난다. 이는 면역세포의 이동통로인 혈관을 확장해 병균이 침투한 곳에 면역세포를 많이 보내기 위해서다.평소 혈관을 타고 흐르는 면역세포는 혈관 바깥의 ... ...
적포도주 마시면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박사는 레스베라트롤을 먹은 쥐가 먹지 않은 쥐보다 생존률이 50% 높다고‘네이처’11월 2
일자
에 발표했다.레스베라트롤이 파리의 수명을 30%, 효모와 물고기의 수명을 60% 연장한다는 것을 밝힌 싱클레어 박사는 이 성분이 쥐의 수명도 연장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싱클레어 박사는 쥐를 세 그룹으로 ... ...
수질 정화하는 나노 쇳가루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크기의 산화철(Fe3O4) 입자를 써서 비소로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기술을‘사이언스’11월 10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수많은 산화철 입자를 지름12nm 크기로 만들었다. 산화철 입자는 표면에 비소가 잘 달라붙는 성질이 있다. 실제로 비소로 오염된 물에 산화철 입자를 넣자 비소가 달라붙었고, 물에 ... ...
타란툴라의 독은 맵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타란툴라의 독이 TRPV1이라는 신경세포 수용기에 작용한다는 사실을‘네이처’11월 9
일자
에 발표했다. TRPV1은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물질인 캡사이신을 받아들이는 수용기다.율리어스 교수는“생물체가 타란툴라에 물리면 독이 TRPV1 수용기에 부착하고 이 신호는 뇌에 전해진다. 그러면 고추를 ... ...
달은 거대한 가스 창고?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1000만년 전까지 달 내부에서 가스가 분출한 증거를 찾았다”고‘네이처’11월 9
일자
에 밝혔다. 45억~46억년으로 알려진 달의 나이와 비교했을 때 1000만년은 매우 짧은 시간이다.지금까지 알려진 달은 지질학적으로 이미 활동이 멈춘 커다란‘암석’일 뿐이었다. 많은 과학자들은 달의 마지막 활동이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