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약도 소화시키는 점박이응애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배 정도 많다는 것도 알아 냈답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발달한 내성유전자가 우리를 1100여 종의 식물을 먹어치우는 대식가로 만들었다고 설명했어요.나를 도와 지구 정복에 나서지 않을래?지금은 제 코가 석자예요. 연구팀의 리처드 클라크 유타대학교 교수가 우리의 해독 유전자를 바꾸거나 ... ...
- 재미가 쏙쏙, 창의력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시티는 만화와 조립도를 보면서 함께 들어있는 약 130 조각의 레고 블록으로 탈 것 아홉 종을 만들 수 있는 책이랍니다. 그런데 도대체 레고로 어떻게 수업을 하는 걸까요? 공간지각능력을 높여라!지니움의 친구들은 책의 조립도를 보면서 자동차나 비행기, 헬리콥터, 호버크라프트 등 총 아홉 ... ...
- 겨울나기 노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올겨울 우리집 가습기는 이식물! 1위 장미허브장미허브는 농촌진흥청에서 약 90종의 원예식물로 실험한 결과, 습도를 가장 많이 높여 주는 식물 1위로 뽑혔어.2위 마삭줄예쁜 색의 새싹이 나는 마삭줄이야. 모양도 예쁜데, 습도까지 잘 높여 준다니 기특하지?3위 털깃털이끼이끼류는 대부분 습도를 ...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영향을 미치진 않을까요?우리나라에 사는 상어는 40종 정도예요. 그 중 식인상어는 9종인데, 수온이 따뜻해지면서 식인상어 중 하나인 청새리상어의 개체수가 늘고 있어요. 우리나라 근처 바다에 먹이인 어류의 수가 늘어, 먹이를 따라 들어온 청새리상어의 수도 늘어났기 때문이지요.앞으로도 ...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바다사자는 캘리포니아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 그리고 독도바다사자 이렇게 총 3종으로 나뉘어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강치라고 부르는 독도바다사자는 바다사자 중에 덩치가 가장 크고, 이빨도 2개가 더 많지요.강치는 우리나라 동해에서 살면서 북쪽으로는 러시아의 사할린 섬, 남쪽으로는 ... ...
- 으라차차! 힘내라, 동물원 아기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8호
- 도로를 만들 때는 바다생물들도 생각해 주세요. 관심 필요종붉은캥거루저는 관심필요종인 붉은캥거루예요. 엄마 주머니에서 떨어져 위험에 처한 저를 사육사 언니가 구해 주셨답니다. 지금까지 만나 본 우리 아기 동물들, 정말 사랑스럽죠? 앞으로도 우리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 ...
- 뚝딱뚝딱, 동물도 도구를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7호
- 따라 함부로 다뤄서는 안 된다는 것도 알게 됐지요. 게다가 ‘만물의 영장’인 사람도 한 종의 동물이라는 것까지 깨닫게 되었답니다. 동물들을 연구하는 방법아주 오래 전, 사람들은 먹고살기 위해 동물을 연구했어요. 동물을 사냥하기 위해서 그 동물의 행동과 습관을 잘 알아야 했죠. 하지만 ... ...
- 숲속의 보물, 버섯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7호
- 줄 알았는데, 전혀 다른 종류였다니 정말 놀라워. 게다가 버섯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종류도 많고, 앞으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해. 정말 숲속의 보물이라고 할 만하지?이젠 우리가 찾은 보물을 자랑하러 숲 광장으로 가야겠어. 친구들도 산에 갔을 때 길가를 잘 살펴봐. ... ...
- 뱀일까? 개구리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7호
- 섬에서 모두 13종의 송곳니 개구리를 발견했어요. 이들 중 9종은 학계에 처음 보고하는 신종이지요.이 개구리들은 아래턱에 두 개의 송곳니를 갖고 있는데, 다른 동물들의 이빨처럼 뿌리를 갖춘 형태가 아니라 턱뼈가 변형돼 돌출된 것이라고 해요. 일부는 독까지 갖고 있어, 개구리가 송곳니로 뭘 ...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지난 30년 동안 우주왕복선이 지구와 국제우주정거장 사이를 135번이나 오고 가면서 수십 종, 수백 마리의 실험동물들도 우주를 다녀왔단다. 우리 동물들을 통해 더 먼 우주를 꿈꾸게 되고, 더 오래 우주에 있는 법을 알아 낸 거지. 우주왕복선을1981년, 우주왕복선의 개발과 함께 국제우주정거장을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