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진단을 내리는데,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에는 이 기능이 모두 들어 있다. 현재 연구팀은
서울
대병원 의료진과 공동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스타트업에도 기술을 이전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 ...
Intro. 수학으로 펼친 상상,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빼꼼. 저 멀리 담 너머에 보이는 우주를 몰래 바라봅니다. 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별들의 모습에 눈이 초롱초롱해집니다. 호기심이 생긴 한 아이는 갑자기 우주가 어떻게 생겼을지 궁금해졌습니다. 재잘재잘. 옆에 있던 아이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주고받아보지만 답이 쉽게 나오지 않네요. 누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앞으로 앞으로~♪ 지구는 둥그니까~♬” 위 동요의 가사처럼 지구는 둥글다. 지금은 이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옛날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다. 많은 사람이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가장자리로 가면 낭떠러지로 떨어질 거라며 두려워했다. 이후 많은 탐험가와 과학자의 노력 덕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다양한 분야를 연결했다고 평가받았다. 이런 연구 성과로 미르자카니 교수는 2014년
서울
에서 열린 세계수학대회에서 여성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했다. 이란의 첫 필즈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수학계의 별이 지다그런데 2017년 7월 충격적인 소식이 수학계에 전해졌다. 유방암 투병 중이던 미르자카니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우선 계속 걸어가다 보면 땅의 가장자리에 도달해 낭떠러지로 떨어지고 말 거예요. 또한
서울
에서 오후 1시에 햇빛이 직각으로 비추면 같은 시각 바르셀로나에서도 똑같이 햇빛이 직각으로 비추어야 해요. 지구는 평평하니까요! 하지만 실제 그 시각의 바르셀로나는 아직 해가 뜨기 시작하는 새벽 ... ...
[Focus News] ‘살충제 계란’ 공포, 계란 계속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점이다. 오랫동안 살충제가 포함된 달걀을 먹어서 건강에 문제가 되지는 않을까. 홍윤철
서울
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현재 검출된 5개의 살충제 중 플루페녹수론을 제외한 4개는 반감기가 7일 이내여서 최대 한 달이면 대부분의 성분이 몸 밖으로 빠져 나간다”며 “피프로닐과 비펜트린에 ... ...
[Issue] 우사인 볼트는 왜 영원할 수 없나, 근육 노화로 풀어 본 스프린터의 숙명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그런데 성호르몬의 양이 많으면 근육의 회복이 빠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공영윤
서울
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쥐 실험으로 혈중 성호르몬이 골격근의 성체 근육 줄기세포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 2016년 8월 2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 ...
[Issue] 길고양이가 살인진드기 옮긴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단순히 만지는 것만으로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서울
대 수의대 연구팀이 2014년
서울
과 인근에 거주하는 톡소포자충 감염 고위험군 673명을 조사한 결과, 감염률은 접촉 유무보다는 빈도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고, 대변을 치우는 접촉을 일주일에 2~5회 이상 하는 사람이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필자는 김재문 충남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정기영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과 교수(현
서울
대병원 신경과 교수) 등과 공동으로 2012년 지리산유스캠프에서 진행된 청소년 마음수련 인성캠프에 참가한 성인과 청소년의 뇌가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 조사했다. 캠프에 참가한 375명 중 16명을 대상으로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노명일
서울
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연구실은 진정한 ‘배 덕후(마니아)’의 방이었다. 요트부터 잠수함까지 각양각색의 배 모형들이 연구실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노 교수는 “어렸을 때부터 직접 배 만드는 걸 좋아했다”며 “배는 용도에 따라 모양이 다양해 조립하는 재미가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