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으)로 총 4,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만큼 자주 보던 장면이다. 둘은 같은 공간에 머물렀지만 결국 만나지 못한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알다시피 서로가 같은 공간에 있었던 시간이 달랐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은 3차원이다. 직선 위의 세계가 1차원, 평면 위의 세계가 2차원이라면 가로, 세로, 높이 세 방향이 만드는 공간이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모스크와 달리 매우 현대적이고 세련된 느낌입니다. 특히 은빛으로 빛나는 거대한 철제 돔과 기하학 패턴, 그리고 두 개의 원이 서로 겹쳐질 때 만들어지는 ‘베시카 피시스’ 모양의 기둥은 위대한 신의 힘과 조화로움을 상징하는 듯합니다.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슬람 ... ...
- [재미] 11회 지리산에 있는 벽돌집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네?”박 형사가 오열하며 말을 꺼냈다.“바…, 반장님. 죄송합니다. 사…사실, 한수지는 제 누나예요. 흑흑. 어렸을 때 입양된 저는 누나를 찾기 위해 일부러 3년 전 한국에 왔어요. 누나가 반장님과 헤어진 뒤에 실종된 걸 안 뒤부터 반장님을 원망했어요. 그래서 반장님에게 복수하려고 곁에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소장은 의문을 품고 연구를 진행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한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냈죠. 미심쩍었는지 이것저것 더 실험해 보라고 시키더군요. 그 실험을 다 하면 2년은 걸릴 것 같아 ‘너희에게 안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미친다. 머리 덜 쓰는 경향이 몇 만 년 뒤 미래의 지적 능력에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언제나 열려 있다. 비록 ‘아직까지는’ 뚜렷한 흔적이 보이지 않지만 말이다. 폭발적인 디지털 문명이 이런 경향을 가속화할까. 답은 후대 인만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럴 지능이 남아 있다면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제목 :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 *준비물 :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음료수 제품 하나. 3. 수업 목표 ① 하루에 보통 얼마나 물을 마시고 있는지 점검해 본다. ② 물을 적게 먹었을 때 우리 몸에서 어떤 질병이 생기는지 알 수 있다. ③ 음료수에 들어 있는 유해 성분에 대해 알 수 있다. ➃ ...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있는 싱크홀처럼 서로 협력해서 연구해야 하는 분야도 많습니다.Q 심재연(인천 송도고) 제 꿈은 북극해에서 직접 자원을 찾는 것입니다. 현재 개발 상황과 미래가 궁금합니다.A 북극해에는 석유, 가스, 희유금속 같은 자원이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극지연구소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많은 ... ...
- [불규칙적인 움직임] 여러분, 브라운 운동 멈추고 정렬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마치 통제 없이 모인 군중처럼 말이죠.여러분도 복잡하게 움직이는 다수의 군중을 통제해야 할 때 브라운 운동을 멈추라고 이야기해 보세요. 적어도 브라운 운동이 무엇인지 궁금해서라도 멈추고 쳐다볼 것입니다. …아니면 할 수 없고요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그러나 진화적으로 성별이 하나가 되는 것은 문제가 많다. 같은 유전자를 반복해서 복제하기 때문에 스스로의 유전자에 갇혀버린다. Y 염색체가 사라졌던 과정과 비슷하다. 인류가 이를 깨달았을 때엔 이미 남성과 여성은 사라지고 헤르마프로디토스만 남은 뒤였다. 지금처럼 성별이 하나로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개다. 백 교수팀이 13번 염색체를 맡았으며, 유종신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박사팀이 11번, 조제열 서울대 교수팀이 9번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이 연합하며 프로테옴 연구에서 한국의 힘을 과시했다.앞서 소개한 팬디 교수팀의 연구도 김민식 미국 존스홉킨스대 박사가 제1저자로 연구를 이끌었다. 행콕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