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드디스크 읽기/쓰기 속도가 다른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조금 무거운 게임을 실행할 때 로딩 시간도 차이가 난다. 좀 더 자세히 읽기 속도를 측정했더니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 속도가 느려짐을 알 수 있다. 평소에는 모르고 지냈을 수 있지만 같은 하드디스크라고 해도 꽤 큰 성능 차이가 난다. 어떤 복잡한 기술적 원인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도 ... ...
- 수학촌의 단짝친구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있다.신문지 1장의 두께는 매우 얇아서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만약 10장을 겹쳐서 측정한 두께가 1mm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신문지 1장의 두께는 0.1mm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얇은 신문지도 42번만 접으면 지구에서 접은 신문지가 달에 닿을 정도로 두꺼워진다. 언뜻 들어서는 상상이 되지 ... ...
- 기후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세웠다. 현상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가정했던 기존 모형 대신, 예측 값과 실제 측정 값을 끊임없이 비교해 가며 오차를 수정하는 ‘피드백’ 방식으로 바꾼 것이다. 한 번에 완벽한 예측을 할 수는 없지만, 반복을 거치며 그만큼 정확하게 미래를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복잡하고 ...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과학동아 l2012년 02호
- PNAS)’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대뇌피질을 34개 영역으로 세분해 각각의 회백질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뇌의 기능과 뇌 발달의 속도가 연관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예를 들어 시각, 청각, 후각 등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이나 운동을 조절하는 영역은 10살 전후부터 회백질이 얇아진다. 그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과정에서 본래의 빛 에너지가 달라지면서 나오는 신호다. 하지만 신호가 너무 약해 측정이 어렵다.표면 증강 라만 산란 현상은 금속 나노 구조에 분자가 붙어 있을 때 그 분자의 라만 신호가 금속의 영향을 받아 증폭되는 현상이다. 김교수팀은 라만 신호를 안정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금 나노선을 ...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검증한다. 자동차 도난 전문가가 잠겨있는 자동차 문을 열쇠 없이 여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브레이크 인 타임이 길어질수록 보안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뜻하고 통상 1분 이상, 60초가 넘으면 최고의 보안성을 갖췄다고 본다. 영화 ‘식스티 세컨즈’도 여기서 나온 소재다. 주인공인 ...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정도면 나 행복한 거 맞나? 행복도 수학으로 표현할 수 있다?자신이 얼마나 행복한가를 측정할 수 있는 행복지수 중 가장 유명한 건 영국의 심리학자 로스웰이 개발한 행복지수다.로스웰은 18년 동안 1,000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80가지 상황 중 나를 더 행복하게 만드는 5가지 상황을 고르게 하는 ... ...
- 원유 유출사고 4년, 주민 건강 ‘빨간불’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높인다. 때문에 이 둘의 파괴 정도를 측정하면 환경오염에 따른 건강 영향을 알 수 있다. 측정 결과 방제작업 종료 직후, 방제작업에 참여한 인근 주민들의 지질 산화 지표(MDA)가 참여하지 않은 주민보다 약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 손상 지표(8-OHdG)는 방제작업 참여 여부와 상관없이 ...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저녁에 과학실 전체를 암실로 만든 뒤, 거리에 따른 빛의 세기를 측정해 이 결과를 앞서 한 연구와 연결했습니다.물론 일부 학생은 그 결과를 미리 알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직접 확인하는 것도 과학자가 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독자 여러분도 연구결과에 대한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가속해야 한다. 이때 입자의 속도는 빛의 99.999%다. LEP는 W보손과 Z보손의 질량을 정확히 측정했다. 또한 전자기력과 약한 상호작용을 통합해 설명하는 전자기-약작용 이론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고, 표준모형이 맞다는 사실을 확인했다.하지만, 힉스는 여기서 빠져 있었다. LEP는 2001년 가동이 끝날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