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같다는 가설에 대한 강력한 증거다.[하야부사는 레이저를 이용해 이토카와까지의 거리를
측정
하며 착륙을 시도했다.] 이토카와의 종말이토카와의 표면은 표토로 덮여 있다. 표토는 달과 마찬가지로 소행성 표면이 마이크로유성체와 충돌해 부서지거나 다른 입자와 부딪치고 마모되면서 만들어졌을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를 빛으로 알린다. 생체 데이터 저장기술과 원거리 전송기술 등과 결합하면 원격
측정
의료기기로 활용할 수 있다. 단 지금은 생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거리가 수 cm에 불과해 상용화시키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 연구는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8월 12일자에 실렸다. [“피부 껍질 아니에요” ... ...
치아로 호모 에렉투스 이동 경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통해 해당 지역에 이동했다면 시대에 따라 비율도 변하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실제로
측정
결과 어금니의 크기가 지역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다. 호모 하빌리스와 동유럽의 호모 에렉투스가 거의 비슷한 크기를 보였고, 산기란 유골과 Bpg2001.04 유골이 그보다 컸으며, 저우커우디앤 ... ...
10만 년 된 남아공의 고대화장품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했다.연구팀은 광여기발광(OSL) 기술로 이 유물이 언제 묻혔는지
측정
했다. 석영이나 장석에 에너지를 가하면 빛이 나는데, 땅에 묻힌 광물은 외부 빛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유물이 언제 퇴적됐는지 추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두 점 모두 10만 년 전에 묻힌 것으로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저압상태의 혼합 기체가 작은 구멍을 통해 진공상태인 다른 공간으로 확산하는 속력을
측정
한 실험이다. 진공과 저압 조건이 충족되면 기체 분자들은 서로 거의 충돌하지 않는다. 그러나 은 기체 분자 사이에서 충돌이 생긴다. 분자들의 충돌이 증가하면 기체의 흐름이 지연된다.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의해서 검증될 때까지 기다리는 한편
측정
방법을 더욱 개선해서 다시 중성미자의 속도를
측정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박인규 서울시립대 물리학과 교수는 “아주 짧은 시간 차이기 때문에 도선을 흐르는 찰나의 시간조차도 중요하다”며 “이런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60ns정도의 차이가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인다. 우주선에선 태양과 베텔기우스의 거리는 5광년으로
측정
된다. 즉 우주비행사가 보기엔 10년이면 베텔기우스를 왕복할 수 있다. 먼 미래로 가길 원하면 더 빠른 우주선에 탑승하거나 더 오래 여행하면 된다.아이디어의 기원아인슈타인 이후 절대적인 시간은 더 이상 ... ...
소셜엑스레이 안경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중에서 제가 요즘 관심을 갖는 것은 맥박입니다.맥박도 미세표정처럼 카메라로
측정
할 수 있답니다.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은 산소가 풍부하고 심장으로 다시 들어오는 혈액은 산소가 없죠. 혈중 산소 농도에 따라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비율이 달라지는데, 이 흡수율의 변화로 맥박을 역추적 할 ... ...
당연한 소재, 새로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실험 과정에서 유의미한 점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지도했습니다.
측정
과정에서
측정
결과의 의미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이 그 값을 구하기 위해 노력한 과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움직임을 배운 뒤에는 직접
측정
기구를 가지고 바다로 가서 파도의 높이와 속도를
측정
한다.바닷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플랑크톤과 같은 해양생물을 공부할 수 있다. 바닷물의 풍화와 침식현상에 대한 강의는 바닷가의 울퉁불퉁한 바위 위에 서서 듣는다. 갯벌 생태계를 관찰하고 생물의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