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카메라
"(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간단한 프로그램도 훌륭한 창작용 홈소프트웨어가 된다. 스캐너를 이용하건 디지털
카메라
를 이용하건 가족 사진을 많이 찍어서 컴퓨터에 넣어 놓은 경우 사진마다 사람의 이름 장소 시기 모인 이유 등과 같은 정보를 넣을 수 있는 가족 앨범 프로그램이 있다면 좋을 것이다. 아이의 이름을 ... ...
1. 생활 속의 디지털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한발 더 나가 필름 주변에 사운드 트랙을 붙여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기록하는 첨단
카메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올초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CDMA(코드분할 다중접속장치)휴대전화서비스도 디지털 시대의 개가중 하나다.CDMA 휴대전화는 사람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구입할 수 있다. 물론 좋은 브랜드는 이보다 값이 비싸다. 쌍안경은 망원경 전문매장이나
카메라
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랜턴은 별을 볼 장소를 찾을 때와 성도를 보는 데 필요한 장비다. 주머니에 들어갈 만한 작은 것이 좋은데 가능하면 붉은색 필터가 들어있는 것을 골라야 한다. 성도를 볼 때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그리고 현상은 코닥사에서 해주었다. 롤필름이 발명되고
카메라
의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사진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됐다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B셔터가 가능한 것이면 된다. 필름은 최소한 필름감도(ISO) 400은 돼야 한다. 그리고
카메라
를 혜성 방향으로 향하게 한 다음 셔터를 누르면 된다. 노출 시간은 15초에서 약 1분까지 다양하게 한다. 이렇게 해 보면 필름 상에 혜성의 코마와 꼬리가 흐릿하게 나타나 있을 것이다.별의 일주사진을 찍듯이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는데 앞으로 수업시간에 잘 활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신희관저는
카메라
로 10여통 찍었습니다. 슬라이드로 학생에게 보여주며 설명하고 싶어요문병권현미경 위주의 생물교육이 야외실습 중심으로 변해야 합니다. 사실 제 학교 앞이 저수지인데, 그동안 무심코 지나쳤어요. ... ...
21세기 영상혁명,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이제는 배우나 세트가 없이도 컴퓨터만 있다면 한 편의 영화를 만들 수 있단 말인가.
카메라
를 컴퓨터로 대치해 버린 영화가 영화냐 아니냐를 따지는 일은 사실 부차적인 일이다. 1927년 최초의 유성 영화인 '재즈 싱어' (The Jazz Singer)가 만들어졌을 때 어떤 사람들은 음악과 대사가 화면이라는 영화의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은 UFO를 외계생명체의 비행선이라고 믿고 있다. 실제로 레이더나
카메라
에 UFO가 물리적으로 포착되기도 하지만, 그 운행이 현대과학으로는 도저히 설명될 수 없다. 그래서 UFO가 우리보다 더 지적인 외계생명체에 의한 것이라는 추정이 설득력을 갖는다.UFO에서 내려온 ... ...
3. 마음으로 찍는 사진 염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방송국에서 세리오스에게 원시인의 모습을 투시, 염사하라고 주문하자 세리오스는
카메라
에 9매의 흑백사진과 2매의 컬러사진을 염사시켰다.한편 강력하게 염사현상을 보여주지는 못해도, 염사가 염력 현상을 사진이라는 객관적 방편을 통해 입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를 시도하는 사람이 점점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현재 전세계 아마추어 통신자들이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별1호는 CCD
카메라
로 2천3백㎢의 넓은지역과 2백 30㎢의 좁은 지역의 지구 표면을 촬영하고 있다. 화소의 해상도는 각각 4㎞와 4백m.우리별1호는 음성압축 기술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처리를 이용해 우리말 방송실험을하고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