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스페셜
"
곳
"(으)로 총 2,51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호르몬 분비를 포함한 여러 울트라디언 리듬을 일으키는 부위일 가능성이 높은
곳
을 찾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역시 시상하부에 있는 조직인 실방핵(PVN)과 하부실방구간(SPZ)에서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울트라디언 리듬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반면 시교차상핵(SCN)은 이런 리듬을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아미노산 한
곳
이 다르고, 영장류 가운데 유독 사람만이 303번째와 325번째 아미노산 두
곳
에 추가로 변이가 생긴 것이다(엄밀히 말하면 오랑우탄도 다른
곳
(6번 째)에 아미노산 하나가 바뀌었다). 즉 303번째와 325번째 아미노산 변이는 약 600만 년 전 침팬지/보노보와 갈라진 뒤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보이고 실제 의료사고가 나기도 하지만 치료 효과가 없다면 수천 년에 걸쳐 지구촌
곳곳
에서 이런 치료법이 성행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동물 15%가 독액 지녀 학술지 ‘사이언스’ 8월 31일자는 독액에서 약물을 개발하는 최근 연구동향을 소개한 짤막한 리뷰논문이 실렸다. 여기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방법 아닐까. 과감한 정책이 필요한 때 리버먼 교수는 책
곳곳
에서 유전보다는 환경과 행동이 현대인의 건강에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어린 시절이 중요하다. 비만도 마찬가지여서 “과체중인 아이가 성인이 되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되기 쉬운 가장 큰 이유는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연구원의 꿈은 무엇일까? “제비 마을을 만들고 싶어요. 논이 펼쳐져 있고 하천이 흐르는
곳
에 우리나라 전통가옥을 지어 사람과 제비가 함께 어울려 사는 제비 마을을 꿈꾸고 있답니다.” 지구를 위한 과학은 [어린이과학동아]와 C_program이 함께합니다. 2018 지구를 위한 과학은 남방큰돌고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동물 진화 역사에서 뉴런(신경)이 먼저 나왔고 몸이 점차 복잡해지면서 뉴런 다발이 한
곳
에 집중된 뇌가 생겨났듯이, 원시 해양 동물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후각수용체가 주위 환경의 작은 분자를 감지하는 특화된 역할을 하는 조직(후각상피)에 모이면서 뇌가 그 신호를 ‘냄새’라는 새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초에 도내 ‘가축행복농장’ 40
곳
을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제도가 안착되면 2022년까지 400
곳
으로 늘릴 계획이다. 가축행복농장으로 인증받으려면 마리당 소는 10㎡, 돼지는 0.8㎡, 닭은 0.075㎡ 이상의 사육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또 매년 한 차례 이상 수질검사를 받고 친환경 약품을 써야 한다. 닭의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1
움직이며 바다를 관찰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20분쯤 지났을까, 해안에서 1km쯤 떨어진
곳
에서 회색 물체가 물 위로 쑤욱 올라왔다가 들어가는 것이 보였답니다. 남방큰돌고래가 모습을 드러낸 거예요! 제대로 보이는 건 10마리 내외였지만, 김미연 연구원은 약 30마리의 무리가 함께 있을 거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이 과정에서 산소 이온(산소 7가)의 전자가 특정 파장의 X선을 흡수했다(적색편이로 두
곳
의 흡수 파장이 약간 다르다). 망원경으로 관측한 흡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전체 가시 물질의 9~40%가 뜨거운 WHIM에 존재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네이처’ 제공 우리은하에는 별이 대략 2500억 개 있고 관측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더 무거워졌다. 동시에 우리나라 신경과에서 환지통을 치료하는
곳
이 있는지 문득 궁금해졌다. 사고나 질병으로 팔이나 다리를 잃은 사람 가운데 다수가 여전히 팔이나 다리가 있다고 느끼는데, 이 현상을 환상사지(phantom limb)라고 부른다. 환지통(phantom limb pain)은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