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곳"(으)로 총 2,5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그 뒤 돌연변이체 자손을 얻어 이 녀석들이 우화할 무렵이 됐을 때 24시간 내내 깜깜한 곳으로 옮겨놓았다. 24시간 주기의 생체시계는 몸속에 내장돼 있기 때문에 정상 초파리나 생체시계 유전자가 손상되지 않은 돌연변이체는 이런 환경 아래서도 24시간 주기로 우화하는 패턴을 보일 것이다. ...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동아사이언스 l2017.09.27
- 물이 생긴다. 이 물로 인해 맨틀 밀도가 떨어져 위로 상승할 때 물이 뜨거워져 한곳에 모이면서 마그마 방(房)을 형성하며, 이후 에너지가 축적되다 폭발해 백두산이 생성됐다는 설명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 지역의 화산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가장 주된 가설로 자리 잡았다. 자오 교수는 ...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9.17
- 위해선 대규모의 설비가 사용됐다. 대표적 탐지기인 일본 기후현 폐광산의 깊은 곳에 묻힌 ‘슈퍼 카미오칸데’는 높이 40m의 거대 수조에 정제수 5만t을 채운 구조다. 반면, SNS는 두께 20m의 콘크리트 차벽 안에 담겼다. 중성미자 외 다른 입자가 투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연구진은 토스터 ...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2017.09.17
- 마음은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지만 그냥 무시하고 계속 일에 몰두하거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린다. 2) 억지로 쾌활한 척을 해본다. 빨리 이런 꿀꿀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억지로라도 긍정적 정서를 끌어 올려 부정적 정서를 덮어버린다. 그런데 사실 이런 감정 조절 방식에는 큰 문제가 있다. 감정이 ...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동아사이언스 l2017.09.03
- 이 식물은 봉래초라고도 불리는 덩굴식물 몬스테라다. 몬스테라는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식물로 다 자란 잎은 지름이 1m에 달할 정도로 거대하다. 군데군데 파여 있는 구멍은 폭우와 강한 바람에 견딜 수 있게 도우며, 아래쪽 잎까지도 태양 빛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안 라이트 호주 ...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2017.09.02
- 가서는 약 14%의 사람들이 휴가가 스트레스였다고 응답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낯선 곳에 가니 생기게 되는 긴장감, 같이 휴가를 간 가족이나 친구와의 불화, 신체적 피로 등이 휴가지에서 흔히 겪는 스트레스라고 한다. 휴가 전의 행복도는 휴가를 간 사람이 가지 않은 사람에 비해 높은 경향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2017.08.15
- 주장하는 분해산물인 에틸렌글리콜의 경우 논문에서 말하는 특징적인 피크 외에 다른 두 곳에서도 피크가 보여야 하는데 그게 안 보인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들은 폴리에틸렌필름에 달걀노른자를 갈아 바르거나 돼지고기를 갈아 발라 일정 시간 둔 뒤 필름 표면을 분석했는데 적외선분광 패턴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있다. 작년처럼 간다면 앞으로 한 달은 이런 날씨를 견뎌야 하는데 걱정이다. 매인 곳이 없는 프리랜서라는 이점을 살려 8월에는 ‘홋카이도(北海道) 한달살기’라도 시도해봐야 할까. 그런데 한낮 최고 기온만 보면 지난달부터 이미 30도를 오르내렸다. 그럼에도 지금과 비교해보면 당시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2017.07.18
- 가장 비슷한 운동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올 가을에는 시간이 날 때마다 가까운 곳부터 걷기 좋은 길들을 섭렵해야겠다(인지력 향상을 위해서는 낯선 환경에 놓이는 게 중요하므로).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불리는데, 좀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곳에 살고, 같은 방언을 쓰며, 같은 피부색에, 같은 습관과 배경을 가진 사람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그렇지 않은 사람, 즉 ‘다른’ 사람은 싫어합니다. 이는 부정할 수 없는 본성이지만 또한 의식적인 노력으로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