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곳"(으)로 총 2,5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2017.07.11
- 없고 풍력 역시 바람이 많은 곳이 적고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발전기를 세울 곳이 마땅치 않다. 필자는 십수 년 전 대관령에 놀러 갔다가 풍력발전기를 처음 보고 두 번 놀랐는데 생각보다 너무 컸고 너무 시끄러웠기 때문이다. 남은 건 태양광인데 우리나라는 일조량도 많지 않고 (요즘 ... ...
- 북한 핵실험 여부,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5.16
-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십~수백㎞ 떨어진 곳의 방사능 물질을 탐지하는 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후쿠시마와 같은 원자력발전소 사고 현장이나 미신고 핵실험 활동 등을 실시간 탐지할 수 있다. 최은미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고출력 전자기파로 ... ...
- 사막에 숨겨진 속살, 더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2017.05.14
- 국가와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일부에서 자랍니다. 그중 바오밥나무가 군집을 이루며 사는 곳은 드문데, 표지 사진이 찍힌 마다가스카르의 서쪽 해안도시 ‘모론다바’에 가면 여러 그루의 바오밥나무가 함께 하늘을 양손으로 받치고 있는 듯한 풍경을 만날 수 있다고 합니다. 바오밥나무는 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면 되기 때문이다. 직접 하기 어려우면 이런 일을 대행하는 곳에 맡기면 되는데 몇 푼 아끼려다가 실험 전체를 망치는 셈이다. 게다가 상당수 연구자들은 자신이 엉뚱한 세포로 실험을 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 자체를 생각하지 못한다. 여기서 말하는 과학자들의 ‘게으름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2017.05.02
- 플라타너스를 조밀하게 심을 경우 상황에 따라서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해 지면에 가까운 곳에 미세먼지가 정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나무는 간격을 두고 심어야 하고 가지치기를 많이 해줘야 한다. 한편 비가 오지 않으면 식물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데, 26일 동안 비가 오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2017.04.25
- 20가지 거리로 측정한 뒤 게놈의 변이와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5가지 거리에서 염색체 7곳의 변이가 연관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왼쪽부터 양안 간격, 위 얼굴 깊이, 콧방울에서 코끝까지 거리, 코 넓이, 두개골 넓이다. 각각에 연관된 염색체 상의 위치와 유전자 후보가 표시돼 있다. - 플로스 유전학 ... ...
- [사이언스 지식IN] 그 많던 까마귀는 어디로 갔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4.21
- 까마귀는 곧 잠자리로 들어간다”며 “수원의 경우 근처에 떼까마귀가 잠자리로 삼은 곳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Q. 철새면 올 겨울에도 또 올까요? 수원이 떼까마귀가 생각하기에 겨울을 보내기 좋은 지역이었다면 올 겨울에 또 올 가능성이 물론 있습니다. 올해처럼 정전이 되거나 배설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발견했다. 2005년 마침내 PTC가 결합하는 쓴맛수용체가 TAS2R38이고 민감도에 관여하는 SNP 세 곳도 찾았다. 즉 PAV(프롤린-알라닌-발린)형은 PTC에 민감하고 AVI(알라닌-발린-이소류신)형은 쓴맛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둔감하다. 따라서 부모 양쪽에서 PAI형을 받은 경우(PAI/PAI) 쓴맛에 아주 민감하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동아사이언스 l2017.04.16
- 만약 피부 색소에 해당하는 형태소가 하나라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확산만 일어나기 때문에 프랑스 국기(A)처럼 단순한 패턴만 만들어진다. 그런데 형태소가 두 개면서 화학반응이 일어난다면, 두 형태소가 확산하는 법칙이 다르기 때문에 물결 모양 등 다양한 무늬(C)를 ... ...
- [사이언스지식IN]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동아사이언스 l2017.04.14
- 이덕환 서강대 자연과학부 화학전공 교수는 “꿀은 영아 보툴리누스균의 포자가 자라는 곳 중 하나로 이 세균이 만드는 독소를 품을 가능성이 있다. 보툴리누스균 자체는 안전하나 이 세균이 만드는 독소는 영아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식품의약품청과 질병관리센터, 미국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