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5,59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09
기록한 것이다.조선 시대에는 일식이 일어나는 날짜를 계산해 두었다가 석 달 전에 나라
전체
에 알렸다. 일식이 일어나는 날이면 왕과 신하들은 궁전 뜰에 모여 일식이 무사히 지나가기를 하늘에 빌었다. 그 날만은 백성들도 하루를 경건하게 보내야 했다.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를 부르는 등 노는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09
사정은 비슷하다. 케냐 주민들의 주요 수입원은 농작물과 가축. 전형적인 농업국가다.
전체
국토의 절반가량인 46.5%가 농지다. 케냐 농민의 약 70%가 가축을 기른다.그럼에도 이 나라에선 아직 육종(育種)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육종은 농작물이나 가축을 더 우수한 품종으로 개량하는 농학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과학동아
l
200909
전기 시스템 소재를 단결정으로 바꾸면 에너지를 10% 이상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시스템
전체
의 무게도 줄고 전기 소모량도 감소하기 때문이다.이 같은 장점 덕분에 단결정 소재는 이미 국내외 산업계에서 활발히 쓰이고 있다. 가까운 예로 매일 들여다보는 시계도 단결정으로 만든다. 시계에는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09
통통 튀어 올라왔다. 과연 손으로 만든 우동의 맛은 어떨까. 속부터 겉까지 면
전체
가 쫄깃하고 탱글탱글한 수제 우동은 전혀 새로운 음식이라고 여겨질 만큼 맛있었다. 앞으로 고속도로 휴게실에 있는 우동은 못 먹을 것 같다. 기하급수적으로 가닥 수 늘어나는 수타자장면 긴 반죽 덩어리가 붕붕~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09
300nm 정도도 구분하기 힘들다. 따라서 광학현미경만을 이용하면 줄무늬 패턴 대신
전체
가 균일하게 연결된 면으로 보여야 한다.그런데 나노렌즈를 통해 보면 줄 간격이 2배 정도 확대된 줄무늬가 뚜렷이 보였던 것. 기존 광학 이론대로라면 설사 볼록렌즈가 있어 상이 확대되더라도 줄무늬는 ... ...
로드킬, 환경 오염 없는 경춘고속도로
과학동아
l
200909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생태통로와 유도 펜스로 로드킬 줄인다경춘고속도로는
전체
구간에서 산을 관통하는 터널 구간이 무려 21곳이나 되는 만큼 착공 초기부터 환경파괴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그래서 터널을 만들 때 굴착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소일 네일링(soil-nailing)’ 공법을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09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색으로 표현된다. 충격이 처음 발생한 곳에서 휴대전화
전체
로 퍼져 나가는 경로도 3차원 그래픽 영상으로 볼 수 있다.LG전자에서 지난해 6월 출시한‘시크릿폰’은 이런 가상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반영해 설계됐다. LG전자 모바일커뮤니케이션스연구소 승용호 책임연구원은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09
것을 무시할 것인지를 ‘우리가 선택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전체
진화 계통도의 맨 끝자락에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인간이 그나마 조금 더 도드라져 보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 인간의 행동과 인간 사회의 분석이 좀 더 흥미롭고 ... ...
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
수학동아
l
200909
잘 알려질 수 없었지. 15세기 중반 독일의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발명하면서 유럽
전체
에 옛날 책들이 대량으로 인쇄됐어. 많은 사람들이 디오판토스의 책을 읽고 미지수를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도 배우게 됐어. 하지만 각 나라에서 미지수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다 보니 혼란이 생길 수밖에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08
한다. 그런 다음 다시 A와 교배한다(역교배). 역교배로 태어난 자손(BC1)은 확률적으로
전체
유전자의 75%는 A, 25%는 B에게 받은 셈이다.다시 병원균을 주입해 살아남는 BC1만 골라 A와 교배한다. 이 같은 역교배 과정을 적어도 5, 6번은 반복해야 A를 99% 이상 닮고 B의 병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개체를 얻을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