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성
d라이브러리
"
깊은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한글 한국어 입출력시스템의 연구이다. 입력장치로서 지난 20년간
깊은
연구없이 영어권에서 개발된 키보드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데 과연 그런 형태의 키보드시스템이 한글입력을 위하여 적절한가 한번 의문을 가져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더구나 최근 공업진흥청의 표준자판배열에 관하여 ... ...
발굴·복원되는 찬란했던 문화유산 멕시코의 고대유적과 현대문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지진발생 당시에 생긴 균열로 지반이 침하되어 붕괴직전 상태에 있다. 신앙심이
깊은
멕시코인은 17세기부터 1세기 동안에 걸쳐 지었던 과달루페성당이 급격한 지반침하와 겹친 지진으로 붕괴상태에 이르자 최근 그 서쪽에 새로 대규모 성당을 건설했다. 그 내부는 마치 고급호텔의 로비를 연상케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대리석 측우대는 그때 만든 것이다. 이 측우대에는 세종 때에 측우기를 만들게 된
깊은
뜻이 새겨져 있다. 즉 가뭄을 걱정하던 임금의 간절한 마음을 엿보게 한다. 또 영조 때에 그 뜻을 이어 받아 그 제도를 다시 정비한 경위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정조가 가뭄을 염려하여 비 오시기를 비는 ... ...
푸른 목자의 카우 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동물에 대한 애정이 깊어졌다. 그런데 사랑스런 '누리'가 원인 모를 병으로 죽었을 때는
깊은
상심에 빠져 며칠간 식음을 전폐하다시피한 기억도 있다. 이를 계기로 동물에 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더욱 넓히려는 노력을 하기 시작했다. 대학입시를 앞두고는 생물에 대해서 누구보다 ... ...
노쇠현상의 주된 원인의 하나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될때 심해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앤터니 라이낸'은 세포의 에너지 생산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누적되는 손상이 노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것 같다고 발표, 학계의 주목을 끌었다.미토콘드리아는 세포핵이외에 유일하게 DNA가 존재하는 곳이다.그런데 미토콘드리아 DNA는 전체세포의 적절한 기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칠뿐 아니라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상승하여 지하 3~5㎞의 마그마 쳄버에 모였다가 자체 압력을 견디다 못하여 열곡같은
깊은
틈새인 약선대를 통하여 용암을 분출시킨다. 이런 화산활동은 사이다병을 흔들었다가 갑자기 마개를 따는 것 같은 현상을 상상하면 쉽게 이해된다.마그마 쳄버의 압력이 줄어들고 용융물질을 뿜어내고 나면,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Ar)으로 변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외부로부터 다른 입자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지하
깊은
광산 속에 약 40만ℓ정도의 사염화탄소와 물이 들은 탱크를 준비해 둔다.계산상으로는 이 탱크에서 하루 6개 정도의 뉴트리노가 잡혀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1/3 밖에 관측되지 않는다. 이 사실은 어떠한 ... ...
녹색 식물의 탄생 How Green Plants Began?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그다지 가까운 사이가 아닌것처럼 보이게 하는 차이점들을 찾아내었다.분명히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분자 분석에 쓰인 기술은 위에 대한 특정의 문제를 풀기위해서 뿐만아니라 전반적인 세포의 진화과정을 해명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어질 수 있다.Two groups of scientists are now locked ... ...
미국·영국인들의 과학지식 조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갖고 있으며 특히 과학·기술분야중에서 건강·의약에 대해서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네이쳐'지가 미국인 영국인 각각 2천명을 상대로 조사한 것을 보면 이처럼 과학에 대해 높은 관심도를 나타냈지만 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은 예상보다 훨씬 못한것으로 ... ...
50만년전의 숨결 북경원인의 고향, 주구점을 보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있다. 이 퇴적층이 형성되기까지에는 아마도 수십만년이 걸렸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깊은
층에서 나온 두개골과 최상층부에서 나온 두개골의 해부학적 차이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는 그들의 생활이 오랜세월동안 안정되어 있었고 외적의 침입이 없었다는 증거일 것이다.정촌인의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