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공개된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돼지의 뇌세포에 특수 용액을 주입하자 뇌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 뇌세포에서는 6시간 동안 활성 신호가 포착됐습니다. 비록 고차원적인 뇌 고유의 기능을 재생시키지는 못했지만, 한번 망가지면 재생할 수 없다고 알려진 신경세포를 ...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부작용을 일으켜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체내 효소 결핍이나 혈색소 이상 등 선천적으로 청색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1820년대 미국 켄터키주에 거주하던 마틴 푸가트 일가는 메트헤모글로빈을 헤모글로빈으로 바꾸는 효소인 디아포라아제(diaphorase) 계열의 효소 결핍이었다.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인쇄하거나 PVC, 종이, 금속 등이 섞인 라벨은 어려움 등급으로 분류한다. 다만 비중이 1 이상이더라도 절취선이 있어 소비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보통 등급으로 분류한다. 이들 중 이번에 금지 대상에 포함된 건 수산화나트륨으로 녹일 수 없는 일반접착제를 사용한 라벨이다. 업체들이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무릎을 좀 더 움직여서 무게중심을 유지합니다. 다리 관절로는 보정할 수 없는 수준의 큰 이상 신호가 측정되면 허리를 굽히거나 젖혀야 합니다. 그것으로도 부족하다면 팔을 휘젓고 뒤로 움직이면서 균형을 잃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보정 기능이 들어간 로보트 재권V라면 이제 어디든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더 컸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끝내 두 번째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비록 계획은 3년 이상 미뤄졌고, 심지어 1992년 9월 12일 우주왕복선 엔데버호를 타고 우주 비행을 한 최초의 일본인은 그가 아닌 모리 마모루 박사였지만, 그는 ‘백업 우주인’으로서 최선을 다했다. 당시 그의 마음이 어땠을지는 ... ...
- [수학뉴스] 힐베르트 3번 문제 고차원에서도 풀 실마리 발견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최근 조나단 캠벨 미국 듀크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이 3차원 이상에서 분할합동인 도형들이 실제로 같은 부피와 덴 불변량을 가진다는 것을 일대일 대응 관계로 확인했습니다. 다만 이는 일부 도형에 대해서만 분석한 결과여서 연구팀은 관련 연구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 ...
- 양자우월성 배 라이벌 매치, 구글 VS IBM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와 블로그를 통해 반박했어. IBM의 양자컴퓨터 연구진은 가장 이상적인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해보니 같은 문제를 2.5일이면 풀 수 있고, 조건을 좀 더 개선하면 시간을 더 줄일 수도 있다고 말했어.IBM은 슈퍼컴퓨터는 오래전부터 쓰고 연구해왔기 때문에 소프트웨어가 많고 ...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교수팀은 소시지 추측에 힘을 싣는 연구 결과를 발표합니다. 베트케 교수는 42차원 이상에서는 항상 소시지 모양 포장법이 최소 부피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데 성공했죠. 하지만 여전히 5~41 차원에서는 소시지 추측이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5~41차원 세계 산타들이 마음 편히 선물을 포장할 ... ...
- [중국유학일기] 한국보다 짧은 방학 ‘알바’ 대신 ‘열공’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겨울방학은 1월 중순부터 2월 중순까지 5주가량 된다.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이 모두 두 달 이상인 한국 대학들과 비교하면 짧은 편이다. 가령 크리스마스 전에 겨울방학이 시작되는 한국 대학과 달리, 우한대의 경우 크리스마스부터 이듬해 연초까지 ‘열공’해야 한다. 1월 중순에 기말고사가 있기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가장 장수하는 어종이라고 밝혔어. 연구에서 분석한 빅마우스 버팔로 가운데 85~90%가 80세 이상이었지. 연구팀은 그 이유를 1930년대 이후 계속되는 댐 건설로 해당 지역에 머무는 빅마우스 버팔로들이 알을 낳기 위해 상류로 이동하지 못하고 한 곳에 머물렀기 때문으로 추정했어. 사실 우리는 아무런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