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해양생물자원연구단 책임연구원으로, 미크로네시아의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10년 이상 열대해양생물을 연구했다. 현재는 국내 염생 식물을 조사해 블루카본의 양을 산정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hspark@kiost.ac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무릎을 좀 더 움직여서 무게중심을 유지합니다. 다리 관절로는 보정할 수 없는 수준의 큰 이상 신호가 측정되면 허리를 굽히거나 젖혀야 합니다. 그것으로도 부족하다면 팔을 휘젓고 뒤로 움직이면서 균형을 잃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보정 기능이 들어간 로보트 재권V라면 이제 어디든 ... ...
- [수학뉴스] 힐베르트 3번 문제 고차원에서도 풀 실마리 발견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최근 조나단 캠벨 미국 듀크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이 3차원 이상에서 분할합동인 도형들이 실제로 같은 부피와 덴 불변량을 가진다는 것을 일대일 대응 관계로 확인했습니다. 다만 이는 일부 도형에 대해서만 분석한 결과여서 연구팀은 관련 연구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말했다. 현재 스마트폰용 리튬이온전지는 1시간 내외로 고속 충전이 가능하고, 1000회 이상 충·방전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개발됐다.리튬이온전지의 뒤를 이을 차세대 이차전지로는 나트륨이온전지와 전해질이 고체인 전고체전지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교수는 “차세대 이차전지 후보들이 아직은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곳곳에서 시신이 발견되고 있다는 소식을 보도했어요. 1922년 이후 지금까지 200명 이상의 등반가가 에베레스트에서 숨을 거두었는데, 지구온난화로 눈이 녹으면서 그 아래 묻혀있던 시신이 드러난 것이죠. 이 중에는 1970년대 실종된 영국 탐험대원도 있다고 해요. 그런데 이보다 훨씬 오래전 불의의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원유의 지방 성분인 유지방과 물의 비율에 따라 식감이 달라질 수 있다. 유지방이 10% 이상인 소프트 아이스크림은 유지방이 얼음 결정의 생성을 억제해 부드럽게 느껴진다. 우유를 얼린 ‘우유 얼음’을 사용하는 눈꽃빙수가 일반 빙수의 얼음보다 부드러운 것도 같은 맥락이다.얼음 결정의 크기도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생겼고, 이후 쓰러진 채 방치된 그는 체온이 점점 떨어졌다. 그러던 중 체온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서 열감을 느끼는 환각 상태에 빠져 옷을 벗었고, 여기에 술기운이 더해져 체온이 급속도로 낮아지면서 A 씨는 결국 사망했을 것이다. 수사팀은 최종적으로 저체온증에 의한 사망으로 사건을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더 컸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끝내 두 번째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비록 계획은 3년 이상 미뤄졌고, 심지어 1992년 9월 12일 우주왕복선 엔데버호를 타고 우주 비행을 한 최초의 일본인은 그가 아닌 모리 마모루 박사였지만, 그는 ‘백업 우주인’으로서 최선을 다했다. 당시 그의 마음이 어땠을지는 ... ...
- 양자우월성 배 라이벌 매치, 구글 VS IBM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와 블로그를 통해 반박했어. IBM의 양자컴퓨터 연구진은 가장 이상적인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해보니 같은 문제를 2.5일이면 풀 수 있고, 조건을 좀 더 개선하면 시간을 더 줄일 수도 있다고 말했어.IBM은 슈퍼컴퓨터는 오래전부터 쓰고 연구해왔기 때문에 소프트웨어가 많고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다르지만 대부분 10 이상의 값이 나옵니다. 중력 질량이 광도 질량에 비해 10배 이상 크다는 뜻이죠. 이를 통해 왜소은하에는 인류의 기술로 관측되지 않는 암흑물질이 별보다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 연세대 은하진화연구센터와 함께하는 왜소은하 찾기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