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조알과 인류의 나이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서로 완벽하게 대칭을 이루고 있다(마치 우리의 왼손과 오른손처럼). 화학자들이
실험실
에서 아미노산을 만들 때는 이 두가지 성분이 똑같은 양으로 섞인다. 반면 살아있는 유기체에는 L형만이 형성된다.L형과 D형은 모두 아주 안정적이지만 수천년 동안 그대로 내버려졌을 때는 L형이 점차 D형으로 ... ...
KIST 도핑컨트롤 센터장 박종세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인천에 선수단이 묵을 수 있는 선박을 정박시키겠다고 한 이면에는 배안에 도핑 관련
실험실
을 갖추고 선수들의 약물 복용을 컨트롤 하겠다는 뜻이 숨겨져 있었다고 한다. 소련을 위시해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이미 상용화된 운동선수들의 약물복용을 검사 기준 내에서 컨트롤하기 위해 도핑센터를 ... ...
쿼크와 렙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연구해 왔다. 그러다가 전하를 띤 입자(양성자 전자 등)를 가속시키는 장치가 고안되면서
실험실
에서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이러한 가속기를 사용해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초(超)우라늄원소(원자번호 92 이상의 원소)들을 만들기도 했고, 양성자와 핵을 충돌시켜 많은 종류의 새로운 입자들을 ... ...
PARTⅡ 태양계탐사의 선두주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귀중한 지식을 제공했다.최초의 여자 우주비행사도 소련인이었다. 소련은 이밖에도 우주
실험실
을 75년 5월에 띄워 우주공간에 63일간 체류시키는 기록도 세웠다.우주탐사의 선각자, 티올코프스키인간의 우주여행이 로켓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최초로 간파한 사람은 소련인 콘스탄틴 티올코프스키 ... ...
초전도 자석을 이용한 MHD시스템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이래 연구개발비로 약3천1백만 달러를 투자해왔다.미국에서는 일리노이주에 있는 아르곤
실험실
에서 국방비의 지원으로 약 6.3m 길이에 무게 1백 80t이나 되는 거대한 초전도자석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이 초전도자석은 직경 약 50㎝의 관(管)에 매분9만5천ℓ의 물을 통과시킨다. 내년초부터 이 ... ...
파이오니어-내 어깨에 지워진 짐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학교에 돌아왔을 때는 유전공학과도 많이 변해 있었다. 건물이 증축돼 몇 개의 독자적인
실험실
과 사무실이 생겼고 많은 실험기기가 들어왔다. 교수님과 학생들의 노력으로 대학원도 생겼으며 벌써 6회째인 신입생들이 예전의 나와 똑같은 꿈을 꾸며 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나보다 더 침착하고 ... ...
적조현상 물고기의 떼죽음 식수오염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높아젔다.대청호의 경우도 부영양화 현상이 매우 심각하다. 서울대학교 미생물생태학
실험실
에서 89년 9월에 조사한 바에 따르면 청주시 취수탑 앞의 물은 부유물질양이 농업용수 3급에도 미달되며 총질소량은 상수원수 3급에 해당되어 고도의 정수처리 후에야 사용이 가능한 수질로 분석되었다. ... ...
인공보석의 실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선보여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 에메랄드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차삼이 자기집 지하실의
실험실
에서 합성하여, 천연 에메랄드에 섞어 판매한 인공 에메랄드다. 차삼이 개발한 합성법은 대외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나 그 결정을 실험한 결과 고온 영역에서 결정을 성장 시키는 플럭스법인 것으로 ... ...
PART 2 국내 로봇산업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하나로 부각돼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이 생산라인에 적용된 사례는 거의 없고 아직
실험실
에서 연구중에 있다.■아크용접로봇점용접로봇은 매우 단순한 로봇이다. 이동경로는 전현 신경 쓸 필요없고 그저 용접점에 정확히 도달하기만 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아크용접로봇은 ... ...
「X선 레이저 빔」 기술적 난관에 부딪쳐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잘못 전달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해 10월 실험담당자 로이 루드러프박사도
실험실
을 떠났다.이 시기에 X선 레이저 개발은 기술적 문제에 부딪친 것으로 보인다. 첫째 빔의 광도가 기대에 못미친다는 것이다. 사막 지하 실험 당시 빔을 측정한 센서에 이상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